독립출판 무간
노자권재구의 28. "그 수컷됨으로써 그 암컷됨을 일부러 일삼아 넘어서지 마라." 본문
知其雄 28
知其雄, 守其雌. 爲天下谿. 爲天下谿, 常德不離, 復歸於嬰兒. 知其白, 守其黑. 爲天下式. 爲天下式, 常德不忒, 復歸於無極. 知其榮, 守其辱. 爲天下谷. 爲天下谷, 常德乃足, 復歸於樸. 樸散, 則爲器. 聖人用之. 則爲官長. 故大制不割.
그 수컷됨으로써 그 암컷됨을 (일부러 일삼아) 넘어서거나, 그 암컷됨으로써 그 수컷됨을 (일부러 일삼아) 넘어서지 마라. 천하의 시내가 되게 된다. 천하의 시내가 되면, 언제나 함께 있고 어디서나 함께 하는 도道와 나 사이가 벌어지거나 끊어지지 않게 되며, (일부러 일삼은) 앎이 없음을 돌이키고 (그것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 흰 바로써 그 검은 바를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거나, 그 검은 바로써 그 흰 바를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지 마라. 천하의 모범이 되게 된다. 천하의 모범이 되면, 언제나 함께 있고 어디서나 함께 하는 도道와 나 사이가 어긋나거나 벗어나지 않게 되며, (뚜렷하고 또렷한 실상이나) 실정이 없는 바를 돌이키고 (그것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 영화롭게 됨을 (일부러 일삼아) 기뻐하거나, 그 욕됨을 당하지 않음을 (일부러 일삼아) 부러워하지 마라. 천하의 계곡이 되게 된다. 천하의 계곡이 되면, 언제나 함께 있고 어디서나 함께 하는 도道가 이내 (나에게) 갖추어지고 온전해지게 되며, (잘리거나 깎이지 않은) 처음의 통나무를 돌이키고 (그것으로) 돌아가게 된다. 처음의 통나무가 잘리거나 깎여지고, 무릇 그릇이 생겨난다. (그러므로) 성인은 (도道) 그것을 일삼는다. (그러므로 성인의) 어우름이 오래 가게 된다. 다시 말해, 도道로써 천하를 아우르면, (도道와 천하 사이가) 벌어지거나 끊어지지 않게 된다.
知雄, 守雌, 不求勝也. 知白, 守黑, 不分別也. 知榮, 守辱, 無歆艶也. 知字, 有能爲, 而不爲之意. 谿, 谷, 在下, 水所歸也. 言如此, 則天下歸之. 式, 天下以爲式也. 常德, 卽首章所謂: 常道也. 不離, 無間斷也. 不忒, 無差失也. 乃足, 備全之也. 嬰兒, 無知也. 無極, 無物也. 樸, 太樸也.
“수컷됨”을 “앎”, “암컷됨”을 “지킴”, (“수컷됨”으로써 “암컷됨”을 일부러 일삼아 넘어서거나, “암컷됨”으로써 “수컷됨”을 일부러 일삼아) 넘어섬勝을 바라지求 않음. “흰 바”를 “앎”, “검은 바”를 “지킴”, (“흰 바”로써 “검은 바”를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거나, “검은 바”로써 “흰 바”를 일부러 일삼아) 분별分別하지 않음. “영화롭게 됨”을 “앎”, “욕됨”을 “지킴”, (“영화롭게 됨”을 일부러 일삼아) 기뻐하거나歆 (“욕됨”을 당하지 않음을 일부러 일삼아) 부러워함艶이 없음. “知” 자字, 일삼을爲 수 있지만, 일삼지爲 않음. “시내”, “계곡”, 아래 (쪽에) 자리하는 바, (위쪽) 물이 (흘러들어) “돌아가는” 바. (비유컨대) 이른바, (임금이) 이와 같이 하면, “천하‘가 (모여들어) “돌아가게 된다.” “式”, “천하”가 “모범으로 삼음.” “常德”, 무릇 1장이 일컬은 바, “常道.” “不離”, (서로) 벌어지거나間 끊어지는 바斷가 없음. “不忒”, (서로) 어긋나(서 더하)거나差 벗어나(서 빼야하)는失 바가 없음. “乃足”, 갖추어지고 온전해짐. “嬰兒”, (일부러 일삼은) “앎知”이 없음. “無極”, (또렷하거나 뚜렷한 실상이나) 실정物이 없음. “樸”, (비유컨대, 잘리거나 깎이지 않은) ‘처음太’의 “통나무樸.” (1장이 일컬은 바) “天地之始.”
太樸, 旣散, 而後有器. 卽形而上, 謂之道. 形而下, 謂之器也. 聖人, 以形而上者用形而下者. 則天地之間, 各有其職. 聖人, 兼三才. 以御萬物. 雖職覆, 職載. 亦聽命於我. 是, 爲天地之間. 官於物者之長也. 莊子曰: 官天地. 天地之職, 亦造化之. 一, 官, 守耳. 割, 離也. 以道制物, 謂之大制. 大制, 則道器, 不相離矣. 此, 亦無爲, 而爲, 自然, 而然之意.
‘처음太’의 “통나무樸”가 무릇 “흩어진(散; 잘림·깎임)” 다음에 “그릇器”이 생겨난다. (비유컨대) 무릇, “형이상形而上인 바, 그것을 일컬어 ‘도道’라고 한다. 형이하形而下인 바, 그것을 일컬어 ‘그릇(器; 性·命)’라고 한다(形而上者, 謂之道. 形而下者, 謂之器: 『주역周易』 「계사상전繫辭上傳」 右第十二章).” “성인”은 “형이상인 바(道)”로써 “형이하인 바(천하)”를 일삼는다用. 따라서 “천하天地之間”는 각자 그 직분(職; 性)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성인”은 삼재(三才; 하늘·땅·사람)를 어우른다兼. 다시 말해, “천하萬物”를 아우른다御. 따라서 (“천하”의) 직분職이 (아래로 꺼져) 뒤집히기도 하고覆, (“천하”의) 직분職이 (위로 뒤집혀) 솟구치기도 한다載. 그러나 (그것은) “천하我”의 본성의 명령(命; 自然)을 따른다聽. 이것이 (“성인”이) “천하天地之間”를 “일삼는 방식爲”이다. (이것이 “성인”이) “천하物”를 어우름官이 “오래 가는 까닭長”이다. 『장자莊子』는 (「덕충부德充符」에서) 일컬었다. “천하天地를 아우르는 일官.” (무릇) “천하天地”가 (각자 그) 직분職을 가지는 일, 무릇, (“천하”가 각자의 직분職) 그것을 일삼게 하고造, 그것을 어우러지게 하는 일化. (무릇, 그것을) 하나되게 하는 일一, (그것을) “아우르는 일官”, (그것을) “지키는 일守”일 따름이다. “割”, (서로) 벌어지거나 끊어짐離. 도(道; 自然·性·命·職)로써 “천하物”를 “어우름制”, 그것을 일컬어 “大制”라고 한다. 도道로써 “천하物”를 “아우르면制”, (“천하”의) 도(道; 自然·性)와 “그릇(器; 無爲·命)”이 서로 “벌어지거나 끊어지지” “않는다.” 이것이 무릇 “(임금이)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으면無爲, (‘천하’가 더불어 그것을) 일삼게 되고爲, (임금이) 저절로 그러하면自然, (‘천하’가 더불어 저절로) 그러하게 된다”는 뜻이다.
'권재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권재구의 30. "도로써 임금을 보좌하는 사람은 임금으로 하여금" (0) | 2020.04.01 |
---|---|
권재구의 29. "성인은 지나침을 버리고, 넘침을 버리며, 치우침을 버린다." (0) | 2020.03.26 |
노자권재구의 27.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라 잘 걸은 걸음은 흔적이나 자취가 없다. (0) | 2020.02.09 |
노자권재구의 25장. "사람은 땅을 법칙으로 삼아야 한다." (0) | 2020.01.30 |
노자권재구의 24. "일부러 일삼아 발을 드는 사람은 오래 서 있지 못한다." (0) | 202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