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초원담노 제41장 "높은 수준의 선비가 도를 들으면 다시금 묻지 않는다" 본문

초원산책

초원담노 제41장 "높은 수준의 선비가 도를 들으면 다시금 묻지 않는다"

독립출판 무간 2018. 9. 9. 20:10


41

 

 

상사문도上士聞道, 근이행지勤而行之. 중사문도中士聞道, 약존약망若存若亡. 하사문도下士聞道, 대소지大笑之. 불소不笑, 부족이위도不足以爲道. 고건언故建言, 유지有之. 명도明道, 약매若昧. 진도進道, 약퇴若退. 이도夷道, 약류若類. 상덕上德, 약곡若谷. 대백大白, 약욕若辱. 광덕廣德, 약부족若不足. 건덕建德, 약투若偸. 질진質眞, 약투若渝. 대방大方, 無隅. 대기大器, 만성晩成. 대음大音, 희성希聲. 대상大象, 무형無形. , , 무명無名. 부유도夫唯道, 선대善貸, 차성且成.

 

높은 수준의 선비가 도를 들으면, 부지런히 실천한다. 중간 수준의 선비가 도를 들으면, 반신반의한다. 낮은 수준의 선비가 도를 들으면, 크게 웃는다. (그런데 낮은 수준의 선비가 듣고 크게) 웃지 않는다면, 가 되기에 부족하다. 그러므로 (옛날부터) 전해 오는 말이 있는 것이다. “밝은 도는 어두운 듯하다.” “에 나아감은 물러나는 듯하다.” “평탄한 도울퉁불퉁한 듯하다.” “높은 수준의 덕스러움은 계곡과 같이 깊다.” “아주 결백한 것은 욕된 것 같다.” “아주 넓은 덕스러움은 부족한 듯하다.” “견실한 덕스러움은 변변치 않은 듯하다.” “아주 참된 것은 그저 그러한 듯하다.” “크게 평평한 것은 모남이 없다.” “큰 그릇은 때늦게 이루어진다.” “큰 소리는 잘 들을 수 없다.” “큰 모양은 잘 볼 수 없다.” 는 뚜렷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름 붙일 수 없다. (그러나) 오직 도만이 잘 빌려주며, () 이룬다.

 

 

높은 수준의 선비는 도를 들으면”, ‘다시금묻지 않는다. (믿을 수 있는 것인지 아닌지) 어떠한지 다시금묻지 않는다. (따라서) 거짓으로 믿는 척하지 않는다. 곧바로 (믿을 수 있는 것인지 아닌지에) 개의치 않고 부지런히 실천한다.” 만약, ‘(“를 듣고”, ‘다시금물어서) 믿을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부지런히 실천하는것이라고 말한다면, (그런 선비는) 곧바로 (첫 번째 높은 수준이 아닌) 두 번째 (“높은 수준)로 떨어지게 된다. 무릇, “上士로서 나누어지고 높여지는 이유는 를 들으면” (“부지런히 실천함) ‘곧바로이기 때문이다. ‘다시금’, 믿을 수 있는 것인지 아닌지 물음이 없기 때문이다(上士, 聞道, 更不問. 如何更. 不假信力. 卽便勤行. 若曰能信及, 故能勤行, 已落第二義. , 上士, 分上, 聞道卽已. , 無信不信).

 

중간 수준의 선비(‘다시금물은 다음에야, “에 대해서) 비로소 믿음을 가지게 된다. (‘다시금물은 다음에야, “에 대한) 믿음이 (비로소) 도탑게 된다. (‘다시금물은 다음에야, “) 있는 것인지 없는 것인지에 대해서 의심하기를 그만두게 된다(中士, 方有信力. 信之篤. 不以存亡措懷).

 

낮은 수준의 선비(‘다시금물은 다음에도 에 대한) 믿음에 이르지 못한다. 따라서 (“”) 그것에 대해서 (“크게”) “웃는것이다(下士, 信不及. 故笑之).

 

천지사방처럼 크더라도, 입혀주지 않는 바가 없는데, (“자신은) 더욱 가질 따름이다. (따라서) “잘 빌려준다라고 일컬을 수 있는 것이다. 가을철 짐승 털처럼 작더라도, 세세하게 이루지 않는 바가 없는데, (“자신은) 주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또한 () 이룬다라고 일컬을 수 있는 것이다(六合之大, 無所不衣被, 而已愈有. 可謂善貸矣. 秋豪之微, 無所不曲成, 而不爲主. 可謂且成矣).

 

해 설

노자가 말한 上德”, “廣德”, “建德등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는 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40)”을 비유한다.

초원이 인용한 六合의 출전은 다음과 같다.莊子,齊物論, “六合之外, 聖人存而不論. 六合之內, 聖人論而不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