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초원담노" 제24장 : 만물은 모두 각자의 본성에 따른 정해짐이나 나누어짐이 있다. 본문
제 24 장
기자跂者, 불립不立. 과자跨者, 불행不行. 자견자自見者, 불명不明. 자시자自是者, 불영不彰. 자벌자自伐者, 무공無功. 자긍자自矜者, 부장不長. 기재도왈其在道曰, 여식餘食, 췌행贅行. 물物, 혹오지或惡之. 고유도자故有道者, 불처不處.
돋보이려고 발뒤꿈치를 드는 사람은 오래 서 있지 못한다. 앞서 가려고 큰 걸음으로 걷는 사람은 오래 걷지 못한다. 따지거나 가리는 사람은 지혜롭지 못하다. 잘난 체하는 사람은 빛나지 못한다. 뽐내는 사람은 공功이 없게 된다. 우쭐하는 사람은 오래 가지 못한다. 도道의 관점에서 말하면, 그것들은 음식을 남겨서 쓰레기를 만들거나, 행위에 쓸데없이 군더더기를 붙이는 일들이다. 사람들 모두 그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道를 따르는 사람은 그것에 머물지 않는다.
무릇, 만물은 모두 (각자의 본성에 따른) 정해짐이나 나누어짐이 있다. (따라서 만물이 살아가는 모습은 모두 그) 얻어짐에 알맞아야 하고, (그것에) 가까워야 하는 것이다. 만물 (각자로서의 본성에 따른 정해짐이나 나누어짐)에 귀 기울이지 않은 채, 자신(의 육체적 또는 정서적 편안함 내지 정신적 혹은 물질적 이로움을 지향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있게 되면, 거만하고 오만하게 살게 되고, (그것을) 그 멈추어야할 때 멈출 수 없게 된다. (그것은) 마치, 걷거나 섬에 있어서 앞서 가려고 (일부러 일삼아) 큰 걸음으로 걷(다가 넘어지)거나 돋보이려고 (일부러 일삼아) 발뒤꿈치를 들(다가 쓰러지)게 되는 일과 같고, 질리도록 배불리 먹고 사방으로 한 길이나 쓰레기를 쌓아놓는 일과 같다(凡, 物, 皆有定分. 適得而幾矣. 不聽物, 而有我焉, 則侈濫生, 而不能止於其所止. 猶行立之跨跂, 而飽餘之方丈).
【해 설】
“돋보이려고 발뒤꿈치를 드는 것企”, 이하 “앞서 가려고 큰 걸음으로 걷는 것跨”, “따지거나 가리는 것自見”, “잘난 체하는 것自是”, “뽐내는 것自伐”, “우쭐거리는 것自矜” 등은 정서적 또는 육체적 편안함 내지 정신적 혹은 물질적 이로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대상들로서, 제2장의 “賢”, “難得之貨”, 제9장의 “金”, “玉”, “富”, “貴”, 제12장의 “五色”, “五音”, “五味”, “馳騁畋獵”, 제13장의 “寵”, 제18장의 “慈”, “孝”, “忠臣”, 제19장의 “聖”, “智”, “仁”, “義”, “巧”, “利”, 제20장의 “學” 등이 같은 부류에 속한다.
초원이 인용한 “飽餘之方丈”의 출전은 다음과 같다.『孟子』,「盡心下」, “食前方丈, 侍妾數百人, 我得志弗爲.”
'초원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원담노" 제26장 : 어찌 그 몸으로써 천하를 가볍게 하겠는가? (0) | 2018.08.02 |
---|---|
"초원담노" 제25장 : 사람, 땅, 하늘은 자연을 따른다 (0) | 2018.08.01 |
"초원담노" 제23장 : 분별하지 않기 때문에 (0) | 2018.07.26 |
"초원담노" 제22장 : 적어지게 되면 많아지게 된다 (0) | 2018.07.24 |
"초원산책" 제21장 : 도道는 아주 실제적이고 아주 참되다 (0) | 2018.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