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초원담노" 제25장 : 사람, 땅, 하늘은 자연을 따른다 본문
제 25 장
유물혼성有物混成, 선천지생先天地生. 적혜寂兮, 료혜寥兮! 독립불개獨立不改. 주행이불태周行而不殆, 가이위천하모可以爲天下母. 오부지기명吾不知其名. 자지왈도字之曰道. 강위지명왈대强爲之名曰大. 대왈서大曰逝. 서왈원逝曰遠. 원왈반遠曰反. 고도대故道大, 천대天大, 지대地大, 왕역대王亦大. 역중유사대域中有四大. 이왕거기일언而王居其一焉. 인법지人法地, 지법천地法天, 천법도天法道, 도법자연道法自然.
뒤섞여 있으면서 이루는 것이 있는데, 하늘과 땅보다 앞선다. 있는 듯 없는 듯하다! 이어지고 이어진다. 두루 나아가지만 힘들어 하지 않는다. 가히, 천하의 어미가 될 만하다. 나는 그것의 이름을 알지 못한다. 글자로 써서 말하자니 “도道”이다.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부르자니 “큼大”이다.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러) “크다”는 것은 나아가지만 자신을 지키지 않기 때문이다. 나아가지만 자신을 지키지 않는다는 것은 두루 나아가 이르지 않는 바가 없다는 말이다. 두루 나아가 이르지 않는 바가 없다는 것은 나아가 이른 바에 휩쓸리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도道도 크고, 하늘도 크며, 땅도 크고, 임금 또한 큰 것이다. 천하에 네 가지 큰 것이 있는데, 임금이 그 하나이다. 사람은 땅을 따르고, 땅은 하늘을 따르며, 하늘은 도道를 따르고, 도道는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를 따른다.
(노자가 말한) “逝”, “遠”, “反”은 (도道가) “큼”이 되는 이유이다. (따라서 노자는 도道가) “크기” 때문에 “逝”하고, “逝”하기 때문에 “遠”하며, “遠”하기 때문에 “反”한다고 일컫지 않은 것이다. (“道”, “天”, “地”, “王”의) “域中四大”는 모두 “自然”을 따라서 살아간다. 따라서 모두 “큼”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노자는 “人”-“地”-“天”-“道”의 순서로)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라고 일컬었는데, (이것은 “人”-“地”-“天”-“道”의 순서와 관계없이 “人”, “地”, “天”) 각자가 “自然”을 “따름”이 불가능함을 일컫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모두 문장을 엮을 때 변화를 주는 기법이다. (가장 처음에 자리하는) “사람”이 (가장 마지막에 자리하는) “自然”을 따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람”이 가장 높고 뛰어난 것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사람” 중에서 가장 높고 뛰어난 “사람”을) “임금”이라 이름 붙이고, (“域中四大”의 하나로서 그) “큼”을 드러낸 것이다(逝且遠且反, 所以大也. 非謂大故逝, 逝故遠, 遠故反也. 域中四大, 皆從自然生. 故並爲大. 非謂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皆不能法自然也. 此皆綴文變法. 人而能法自然. 則爲人之最尊勝, 故稱王而顯大).
'초원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원담노 제27장 : 사람과 만물을 잘 구제하는 요지 (0) | 2018.08.03 |
---|---|
"초원담노" 제26장 : 어찌 그 몸으로써 천하를 가볍게 하겠는가? (0) | 2018.08.02 |
"초원담노" 제24장 : 만물은 모두 각자의 본성에 따른 정해짐이나 나누어짐이 있다. (0) | 2018.07.27 |
"초원담노" 제23장 : 분별하지 않기 때문에 (0) | 2018.07.26 |
"초원담노" 제22장 : 적어지게 되면 많아지게 된다 (0) | 2018.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