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3장 왕필주 "통치자가 뛰어남을 높이지 않으면, 백성이 다투지 않는다" 본문
제 3 장
불상현不尙賢, 사민부쟁使民不爭. 불귀난득지화不貴難得之貨, 사민불위도使民不爲盜. 불견가욕不見可欲, 사민심불란使民心不亂.
시이성인지치是以聖人之治, 허기심虛其心, 실기복實其腹.
약기지弱其志, 강기골强其骨.
상사민무지常使民無知, 무욕無欲.
사부지자使夫智者, 불감위야不敢爲也.
위무위爲無爲, 즉무불치則無不治.
(통치자가) ‘뛰어남賢’을 높이지 않으면, 백성이 다투지 않는다.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이 도둑질 하지 않는다. 일부러 일삼고자 할欲 만한可 것을 보이지 않으면, 백성의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성인의 다스림은 그 (정서적 또는 육체적 편안함 내지 정신적 혹은 물질적 이로움을 위해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마음心’을 비우고, 그 ‘배腹’를 채우는 것이다.
그 ‘의지志’를 약화시키고, 그 ‘뼈骨’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백성으로 하여금, (남들보다 뛰어나거나 남들이 얻기 어려운 재화를 얻으면, 남들보다 높여지거나 귀해진다는 것을) 알지 못하게 하고, (남들보다 높여지거나 귀해지기 위해서) 일부러 일삼(아 남들보다 뛰어나고자 하거나 남들이 얻기 어려운 재화를 얻)고자 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무릇, (남들보다 뛰어나거나 남들이 얻기 어려운 재화를 얻으면, 남들보다 높여지거나 귀해지게 된다는 것을) 아는 사람으로 하여금, (남들보다 높여지거나 귀해지기 위해서) 감히 (일부러 일삼아 남들보다 뛰어나거나 남들이 얻기 어려운 재화를 얻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통치자가) ‘일부러 일삼음爲’이 없음無을 일삼으면爲, 다스려지지 않음이 없다.
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賢”은 ‘뛰어나다’는 말과 같다. “尙”은 ‘그것을 아름답게 여긴다’는 말이다. “貴”는 ‘그것을 높이 받든다’는 말이다. 오직, (일할 수 있는) 역량能, 그것에 따라서 일하게 하는데任, 어찌 (일해 내는 데 뛰어남, 그것을) 아름답게 여기겠는가? 오직, (쓰일 수 있는) 용도用, 그것에 따라서 쓰이게 하는데施, 어찌 (그 용도가 분명치 않은 얻기 어려운 재화) 그것을 높이 받들겠는가? (그 일할 수 있는 역량을 벗어나는) 뛰어남을 아름답게 여기고, (그 사람의) 이름을 드러내며, 그 (역량에 따라서) 일하게 한 바任나 (그) 일해 낸 바(爲; 정도 또는 결과)에 (비해서 아름답게 여김이) 지나치거나 (그 이름이) 빛나기 때문에, 서로 (그 일하게 한 바를) 비교하거나 서로 (그 일해 낸 바를) 다투는 것이다. (그 용도가 분명치 않은 얻기 어려운) 재화貨를 높이 받들고, (그) 용도를 벗어나 (쓰이게 하)기 때문에, (남들보다 높이 받들어짐을) 탐내는 사람들이 (그것을) 다투어 가지려 하고, 샛문을 뚫어서 (그) 보물篋을 찾으려 하며, 목숨을 걸고서 (그것을) 훔치려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할 만한 것이 보여지지 않으면, (백성의) 마음이 어지럽게 되는 바가 없다는 것이다(賢, 猶能也. 尙者, 嘉之名也. 貴者, 隆之稱也. 唯能是任, 尙也曷爲? 唯用是施, 貴之何爲? 尙賢, 顯名, 榮過其任爲, 而相校能相射. 貴貨, 過用, 貪者, 競趣, 穿窬探篋, 沒命而盜. 故可欲不見, 則心無所亂也).
【해 설】
노자가 말한 “尙”은 어떤 단체나 사람이 ‘뜻을 모아 향한다志向’ 내지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간다指向’는 의미이다.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노자가 말한) “心”은 (일부러 일삼은) ‘앎智’을 품은 마음을 뜻한다. “腹”은 (‘마음’이 일부러 일삼은 ‘앎’을 품듯이) ‘음식食’을 품는 ‘배’를 뜻한다. “虛”는 (‘배’가 ‘음식’을 비우듯이 ‘마음’이 품은 일부러 일삼은) ‘앎智 있음有’을 비운다는 뜻이다. “實”은 (‘배’가 음식을 채우듯이 일부러 일삼은) ‘앎知 없음無’을 채운다는 뜻이다(心, 懷智. 而腹, 懷食. 虛, 有智. 而實, 無知也).
【해 설】
노자가 말한 “배腹”는 “일부러 일삼고자 함(欲 : 제1장)”이나 “일부러 일삼음(爲 : 제2장)”이 없는 “마음心”을 비유한다.
왕필이 말한 “앎智·知”은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감각’이나 ‘지각’을 의미한다.
弱其志, 强其骨.
(노자가 말한) “骨”은 (‘마음’ 속에 일부러 일삼은) ‘앎’이 없는 상태知無’ (또는 모습으)로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거나(無欲 : 제1장)”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無爲 : 제2장)” ‘행위’의) 바탕이 되는 바幹이다. “志”는 (‘마음’ 속에) ‘일부러 일삼는 바’가 생겨난 상태生事 (혹은 모습으)로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거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행위’를) 어지럽게 하는 바亂이다. (따라서 성인은 그 일부러 일삼은 ‘앎이 있음’을 품은) ‘마음’이 텅 비게 하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생겨난) ‘의지’가 약해지기 때문이다(骨, 無知以幹. 志, 生事以亂. 心虛, 則志弱也).
【해 설】
노자가 말한 “뼈骨”는 “일부러 일삼고자 함(欲 : 제1장)”이나 “일부러 일삼음(爲 : 제2장)”이 없는 “의지志”를 비유한다.
왕필이 말한 “의지志”는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의지’를 의미한다.
왕필주 “무지이간無知以幹”에서 幹은 ‘몸통’, ‘뼈대’, ‘줄기’, ‘중심’, ‘기본’을 의미한다.
常使民無知, 無欲.
그 참된 바眞를 지키게 한다는 말이다(守其眞也).
【해 설】
왕필이 말한 “참된 바眞”는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 제2장 왕필주)”를 의미한다.
使夫智者, 不敢爲也.
(노자가 말한) “智”는 일부러 일삼은爲 앎知을 일컫는다(智者, 謂知爲也).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5장 왕필주 "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아서, 만물을 추구처럼 대한다" (0) | 2018.02.07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4장 왕필주 : "도는 텅 비어 있지만, 그것을 쓰는데, 언제나 남기지 않는다" (0) | 2018.02.06 |
왕필산책: 도덕경 제2장 왕필주 "천하 사람들은 모두 남들이 아름답다고 하는 것을 정말로 아름다운 것으로 여기는데..." (0) | 2018.02.04 |
왕필산책 : 도덕경 제1장 왕필주 "도는 말해질 수 있다" (0) | 2018.01.11 |
왕필산책 : 도덕경 제81장 왕필주 "진실한 말은 아름답지 않다" (0) | 2017.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