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4장 왕필주 : "도는 텅 비어 있지만, 그것을 쓰는데, 언제나 남기지 않는다" 본문
제 4 장
도충道沖, 이용지而用之, 혹불영或不盈. 연혜淵兮! 사만물지종似萬物之宗. 좌기예挫其銳, 해기분解其紛. 화기광和其光, 동기진同其塵. 담혜湛兮! 사혹존似或存. 오부지수지자吾不知誰之子. 상제지선象帝之先.
도道는 텅 비어 있지만, 그것을 쓰는데, 언제나或 남기지 않는다. 그렇구나! 만물의 근원인 것 같다. 그 날카로움은 꺾지만, 그 얽힘은 푼다. 그 빛남과 어울리지만, 그 티끌과 함께 한다. 그렇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존재하는 것 같다. 나는 누구의 자식인지 알지 못하겠다. 조물주象帝보다 앞서는 것 같다.
무릇, 한 집안을 유지執할 역량밖에 되지 않는 사람은 (그) 집안을 발전全시킬 수 없다. 한 나라를 유지執할 역량밖에 되지 않는 사람은 (그) 나라를 발전成시킬 수 없다. 있는 힘을 다하더라도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릴 힘밖에 없다면, (들어 올린 것으로) 다른 종류의 일을 하거나 (들어 올린 것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사람이 비록 지혜로워서 만물이 다스려지더라도, 다스리는 데 있어서 ‘양면적 도道의 속성二儀之道’을 따르지 않는다면, (그 다스림이) 넉넉할 수 없는 것이다. ‘땅’이 비록 형상形과 정기(精氣; 魄)를 가졌더라도, ‘하늘’을 따르지 않으면, (그) 안정됨寧을 유지全할 수 없으며, ‘하늘’이 비록 정기(精; 魂)와 형상象을 가졌더라도, ‘도道’를 따르지 않으면, (그) 실상(實狀; 精)을 유지保할 수 없기 때문이다(夫, 執一家量者, 不能全家. 執一國之量者, 不能成國. 窮力擧重, 不能爲用. 故人雖知, 萬物治也, 治而不以二儀之道, 則不能贍也. 地雖形魄, 不法於天, 則不能全其寧, 天雖精象, 不法於道, 則不能保其精).
【해 설】
왕필이 말하는 “양면적 도道의 속성二儀之道”은 도道의 “만물지종萬物之宗”으로서의 속성(근원성)과 “혹존或存”으로서의 속성(실재성)을 의미한다.
“沖而用之”는 일삼음用이 끝내 멈추지窮 않는다는 말이다. (도道는 ‘멈춤 없이’ 만물을) 채워서 가득 차게 한다. (따라서 만물은 ‘멈춤 없이’) 가득 차서 넘치게 된다. 따라서 “沖而用之”(라고 말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그 ‘역량量’ 내지 ‘일삼음’을) “남기지 않는다不盈”(는 것이다). (도道의) 그 일삼음爲은 멈춤이 없으며, 또한 끝남極이 없을 따름이다(沖而用之, 用乃不能窮. 滿以造實. 實來則溢. 故沖而用之. 又復不盈. 其爲無窮, 亦已極矣).
【해 설】
왕필주 “위무궁爲無窮, 역이극亦已極”은 “양면적 도道의 속성二儀之道”을 부연한다. 다시 말하면, 왕필에게 있어서, 도道는 “멈춤”이나 “끝남”이 없이 만물을 “채워서 가득 차게 하고”, 만물이 “가득 차서 넘쳐나는” “근원主”인 동시에, “가득차서 넘쳐나는” 만물과 ‘언제나 함께 있고爲無窮’, 만물의 “가득차서 넘쳐남”과 ‘어디서나 함께 하는亦已極’ “실재存”인 것이다.
형상形이 비록 클지라도 그 몸집體이 장애가 되지 않으며, 일삼음事이 비록 많을지라도 그 역량量을 채우지 못한다. (따라서) 만물이 이것을 내버려 둔 채, 근원主을 찾는다면, 어디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겠는가? 그렇지 않은가? “만물의 근원인 것 같다!” (따라서) 날카로운 것을 꺾어주지만, (자신은) 다치지 않는다. 얽혀있는 것을 풀어주지만, (자신은) 힘들어 하지 않는다. 빛나는 것과 어울리지만, 그 몸을 더럽히지 않는다. 티끌 같은 것과 함께 하지만, 그 참된 바眞를 변질시키지 않는다(形雖大, 不能累其體, 事雖殷, 不能充其量. 萬物舍此, 而求主, 主其安在乎? 不亦淵兮? 似萬物之宗乎! 銳挫, 而無損. 紛解, 而不勞. 和光, 而不汚其體. 同塵, 而不渝其眞).
【해 설】
왕필이 말한 “참된 바眞”는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의미한다.
그렇지 않은가? “언제나 어디서나 존재하는 것 같다!” ‘땅’이 그 형상形을 유지하지만守, (‘땅’의) 덕스러움德은 그 실어줌을 넘어서지 못하며, ‘하늘’이 형상象을 유지하지만慊, (‘하늘’의) 덕스러움德은 그 덮어줌을 넘어서지 못한다. ‘하늘’과 ‘땅’은 그것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조물주帝보다 앞서는 것 같지 않은가? (不亦湛兮? 似或存! 地守其形, 德不能過其載, 天慊其象, 德不能過其覆. 天地, 莫能及之. 不亦似帝之先乎?)
【해 설】
왕필주 “막능급지莫能及之”에서 之는 “道沖, 而用之, 或不盈”를 의미한다.
“제帝”는 주물주天帝를 뜻한다(帝, 天帝也).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6장 왕필주 "계곡의 신령스러움은 사라지지 않는다" (0) | 2018.02.08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5장 왕필주 "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아서, 만물을 추구처럼 대한다" (0) | 2018.02.07 |
왕필산책 : 도덕경 제3장 왕필주 "통치자가 뛰어남을 높이지 않으면, 백성이 다투지 않는다" (0) | 2018.02.05 |
왕필산책: 도덕경 제2장 왕필주 "천하 사람들은 모두 남들이 아름답다고 하는 것을 정말로 아름다운 것으로 여기는데..." (0) | 2018.02.04 |
왕필산책 : 도덕경 제1장 왕필주 "도는 말해질 수 있다" (0) | 201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