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78장 왕필주 "천하에서 물보다 부드럽고 연약한 것이 없다" 본문
제 78 장
천하막유약어수天下莫柔弱於水. 이공견강자而攻堅强者, 막지능승莫之能勝. 이기以其, 무이역지無以易之.
약지弱之, 승강勝强. 유지柔之, 승강勝剛. 천하天下, 막부지莫不知, 막능행莫能行. 시이성인운是以聖人云, 수국지구受國之垢, 시위사직주是謂社稷主. 수국불상受國不祥, 시위천하왕是謂天下王. 정언正言. 약반若反.
천하에서 물水보다 부드럽고 연약한 것이 없다. 공력攻이 단단하고堅 굳센 것强 중에서 능히 그것을 이길 수 있는 것이 없다. (그 ‘부드러움’과 ‘연약함’에 있어서 물水의 위상) 그것을 바꿀 수 있는 것이 없다.
부드러운 것이 굳센 것을 이긴다. 연약한 것이 단단한 것剛을 이긴다. 천하가 (그것을) 모르지 않지만, 능히 실천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성인이 이르길, “나라의 허물을 받아들이는 것, 그것을 일컬어 사직社稷의 주인主이 되는 일이라 한다. 나라의 상스럽지 못함을 받아들이는 것, 그것을 일컬어 천하의 왕王이 되는 일이라 한다.” 옳은 말이다. (그런데 천하는) 반대로 여기는 것 같다.
天下莫柔弱於水. 而攻堅强者, 莫之能勝. 以其, 無以易之.
(“以其無”에서) “以”는 (일부러) 일삼는다用는 의미이다. “其”는 “물水”을 일컫는다. 따라서言 (“以其無以易之”는) “물水”의 “부드러움”과 “연약함”을 (일부러) 일삼음으로써, (그 “부드러움”과 “연약함”에 있어서 “물水”이 가진 위상) 그것을 바꿀 수 있는 사물物이 없다는 의미이다(以, 用也. 其, 謂水也. 言, 用水之柔弱, 無物可以易之也).
【해 설】
노자가 말한 “부드러움柔”과 “연함弱”은 자신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따름(法 : 제25장)”으로써, “일부러 일삼고자 함(欲 : 제73장 왕필주)”이 없음 또는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無爲 : 제37장)”을 상징하는 반면, “단단함堅”과 “굳셈强”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있음 혹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爲 : 제75장)”을 상징한다.
노자가 말한 “以其無以易之”는 “天下莫柔弱於水. 而攻堅强者, 莫之能勝”을 부연 및 강조한다.
노자가 말한 “弱之, 勝强. 柔之, 勝剛”을 이해하는 데, 다음을 참조해 볼 만하다. “사람이 살아 있을 때에는 부드럽고 연하다. 죽으면 단단하고 굳세다. 만물초목이 살아 있을 때에는 부드럽고 무르다. 죽으면 야위고 마른다. 그러므로 단단하고 굳센 것은 죽음의 부류인 것이다. 부드럽고 연한 것은 삶의 부류인 것이다. 그러므로…굳세고 큰 것이 ‘아래下’에 머물게 되는 것이다. 부드럽고 약한 것이 ‘위上’에 머물게 되는 것이다(人之生也, 柔弱. 其死也, 堅强. 萬物草木之生也, 柔脆. 其死也, 枯槁. 故堅强者, 死之徒. 柔弱者, 生之徒. 是以…强大, 處下. 柔弱, 處上 : 제76장).”
노자가 말한 것처럼, 성인이 “사직社稷의 주인主이 되는 일”을 “나라의 허물을 받아들이는 것”이라 일컬은 이유는 그것이 “굳세게 되는 일强”이기 때문이며, “천하의 왕王이 되는 일”을 “나라의 상스럽지 못함을 받아들이는 것”이라 일컬은 이유는 “그것이 단단하게 되는 일剛”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사직社稷의 주인主이 되는” 것과 “천하의 왕王이 되는” 것은 “굳세어지거나强” “단단해지는剛” 일로서, “백성이 싫어하는 바(人之所惡 : 제42장)”이다. 따라서 사직의 주인 자리에 있지만, 나라의 허물을 받아들인 것처럼, 백성에게 자신을 낮추며(또는 백성을 자신보다 높이며)柔, 천하의 왕 자리에 있지만, 나라의 상스럽지 못함을 받아들인 것처럼, 백성에게 자신을 낮춤(혹은 백성을 자신보다 높임)弱으로써, “백성이 등을 돌리지(民彌叛 : 제57장)” 않게 하는 것이다. 다음을 참조해 볼 만하다. “귀함은 천함으로써 바탕을 삼으며, 높음은 낮음으로써 토대를 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후왕侯王은 자신을 ‘고아와 같은 사람’, ‘덕스러움德이 부족한 사람’, ‘잘 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일컫는 것이다. 이것은 천함으로써 바탕을 삼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렇지 않은가?(故貴以賤爲本, 高以下爲基. 是以侯王自謂孤·寡·不穀, 此非以賤爲本邪? 非乎? : 제39장).” “백성은 ‘고아와 같은 것’, ‘덕스러움德이 부족한 것’, ‘잘 하지 못하는 것’을 싫어하는데, 왕공王公은 그것을 이름으로 삼는다. 만물은 덜어내려고 하지만 보태지고, 보태려고 하지만 덜어지기 때문이다(人之所惡, 唯孤寡不穀, 而王公以爲稱. 故物或損之而益, 或益之而損 : 제42장).” “강江과 바다가 온갖 계곡의 왕王이 되는 까닭은 그것들의 ‘아래下’에 머물기를 잘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능히 온갖 계곡의 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통치자가) 백성의 ‘위上’가 되고자 한다면, 반드시 (제39장의 “孤”, “寡”, “不穀”에서와 같이) 말言로써 (자신을) 그들의 ‘아래’가 되게 해야 하는 것이다. (통치자가) 백성의 ‘앞先’이 되고자 한다면, 반드시 (제7장의 “後其身而身先, 外其身而身存”에서와 같이) 몸身으로써 (자신을) 그들의 ‘뒤’가 되게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백성의 ‘위’에 머물지만, 백성이 무거워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백성의 ‘앞’에 머물지만, 백성이 해로워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천하가 추천하기를 즐기고, 꺼리지 않는 것이다. (일부러 일삼아 백성의 ‘위’가 되거나 백성의 ‘앞’이 되기를) 다투지 않기 때문에 천하의 누구도 그와 더불어 다투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江海所以能爲百谷王者, 以其善下之. 故能爲百谷王. 是以欲上民, 必以言下之. 欲先民, 必以身後之. 是以聖人處上, 而民不重. 處前, 而民不害. 是以天下樂推, 而不厭. 以其不爭, 故天下莫能與之爭 : 제66장).”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80장 왕필주 "나라의 규모를 작게 하고, 백성의 수를 적게 하라" (0) | 2017.12.28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79장 왕필주 "큰 원망이 풀리더라도 반드시 남는 원망이 있기 마련이다" (0) | 2017.12.28 |
왕필산책 : 도덕경 제77장 왕필주 "하늘의 도가 일삼는 모습은 활을 당기는 것과 같다!" (0) | 2017.12.28 |
왕필산책 : 도덕경 제76장 왕필주 "사람이 살아 있을 때에는 부드럽고 연약하다" (0) | 2017.12.28 |
왕필산책 : 도덕경 제75장 "백성이 굶주리는 것은 그 '위'에서 조세를 많이 거두어 들이기 때문이다" (0) | 2017.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