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77장 왕필주 "하늘의 도가 일삼는 모습은 활을 당기는 것과 같다!" 본문

왕필산책

왕필산책 : 도덕경 제77장 왕필주 "하늘의 도가 일삼는 모습은 활을 당기는 것과 같다!"

독립출판 무간 2017. 12. 28. 13:52


77

 

 

천지도天之道, 기유장궁여其猶張弓與! 고자高者, 억지抑之. 하자下者, 거지擧之. 유여자有餘者, 손지損之. 부족자不足者, 보지補之. 천지도天之道, 손유여損有餘, 이보부족而補不足. 인지도人之道, 즉불연則不然.

손부족損不足, 이봉유여以奉有餘. 숙능유여孰能有餘, 이봉천하以奉天下? 유유도자唯有道者. 시이성인是以聖人, , 이불시而不恃. 공성功成, 이불처而不處. 기불욕其不欲見賢.

 

하늘의 도가 일삼는 모습은 활을 당기는 것과 같다! 높은 것은 끌어내린다. 낮은 것은 들어올린다. 남음이 있는 데는 덜어낸다. 모자람이 있는 데는 보태준다. 사람의 도는 그렇지 않다.

부족함이 있는 데서 덜어내고 남음이 있는 데를 보태준다. 누가 남음이 있는 데서 덜어내서 천하를 받들겠는가? 오직, 를 따르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일이 풀려지도록 하지만, (그 공) 소유하지 않는 것이다. 이 이루어지게 하지만, (그것에) 머물지 않는 것이다. 그 어짊을 드러내 보이고자 하지 않음.

 

 

天之道, 其猶張弓與! 高者, 抑之. 下者, 擧之. 有餘者, 損之. 不足者, 補之. 天之道, 損有餘, 而補不足. 人之道, 則不然.

하늘과 땅과 더불어 덕스러움어울리게 되면, 이내 능히 그것을 함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늘(과 땅)의 도가 일삼는 것처럼 일삼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하늘과 땅과 더불어 덕스러움이 어울리지 못하게 되면, 이내 능히 그것을 함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하늘(과 땅)의 도가 일삼는 것처럼 일삼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 사람의 역량만큼 일삼(을 수밖에 없)게 된다. 왜냐하면, (사람은) 모두그 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서로 같지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직 저절로 그러한 바와 같이 () 몸을 없애야 하며, () 사사로움을 없애야 한다. 그런 다음에야, 이내 능히 하늘과 땅과 더불어 덕스러움이 어울릴 수 있게 된다(與天地合德, 乃能包之. 如天之道. 如人之量. 則各有其身. 不得相均. 如惟無身, 無私, 乎自然. 然後, 乃能與天地合德).

 

해 설

노자가 말한 其猶張弓與는 활줄을 당기면 활줄은 늘어나지만 활대는 줄어들게 되고, 활대가 줄어들수록 또는 활줄이 늘어날수록 화살은 더욱 멀리 날아가게 되는 모습을 비유한다.

왕필주 與天地合德에서 섞여서 하나가 된상태 내지 하나로 섞여진모습을 의미하는 것으로서(混而爲一 : 14), 40장의 왕필주 同通이나, 55장의 와 의미가 통한다.

왕필주 包之如天之道를 이해하는 데, 다음을 참조해 볼 만하다. “를 따르는 사람은 도와 같아진다. 덕스러움을 섬기고 따르는 사람은 덕스러움과 같아진다. 와 같아지는 사람은 도또한 그와 함께 하는 것을 즐거워한다. 덕스러움과 같아지는 사람은 덕스러움또한 그와 함께 하는 것을 즐거워한다(道者, 同於道. 德者, 同於德. 同於道者, 道亦樂得之. 同於德者, 德亦樂得之 : 23).” “하늘과 땅이 어울려 단이슬을 내린다.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따르게 된다(天地相合, 以降甘露. 民莫之令, 而自均 : 32).”

왕필주 各有其身에서 은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하게 만드는 원인인 육체적 또는 정서적 편안함 내지 정신적 혹은 물질적 이로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비유한다. 다음을 참조해 볼 만하다. “큰 환란이 생기는 것은 내게 몸이 있기 때문이다. 내게 몸이 없다. 어떻게 큰 환란이 생기겠는가?(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及吾無身. 吾有何患? : 13).”

왕필주 不得相均사람마다 마음이 다르다(百姓有心 : 42장 왕필주)”는 의미이다.

왕필이 말한 無身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른다(歸之自然也 : 13장 왕필주)”는 의미이다.

왕필이 말한 無私를 이해하는데, 다음을 참조해 볼 만하다. “(“民多利器, 國家滋昏에서) “利器란 무릇 개인적 이로움의 원인이 되는 기물이다. (그런데) 백성이 (‘개인적으로 이롭고자 함이) 강하면, ‘나라는 약해진다(利器, 凡所以利己之器也. 民强, 則國家弱 : 57장 왕필주).”

 

 

損不足, 以奉有餘. 孰能有餘, 以奉天下? 唯有道者. 是以聖人, , 而不恃. 功成, 而不處. 其不欲見賢.

말하자면, 오직 능히 ‘(가득 차서) 남음이 있음에 머물지만 온전히 텅 비어 있고, ‘남음이 있는 데서 덜어내서 모자람이 있는 데를 보태주며, ‘빛남과 어울리지만 티끌과 함께 하고, 평탄해서 고른 것은 오직 그 도이다. 따라서 성인은 그 어짊을 드러내 보이고자 하지 않는 것인데, 그렇게 함으로써 천하를 고르게 하는 것이다(, 唯能處盈而全虛, 損有而補無, 和光同塵, 蕩而均者, 唯其道也. 是以聖人, 不欲示其賢, 以均天下).

 

해 설

왕필주 唯能處盈而全虛, 損有而補無, 和光同塵, 蕩而均者, 唯其道也를 이해하는 데, 다음을 참조해 볼 만하다. “는 텅 비어 있으면서, 그것을 쓰는데, 언제나 남기지 않는다. 그렇구나! 만물의 근원인 것 같다. 그 날카로움은 꺾지만, 그 얽힘은 푼다. 그 빛남과 어울리지만, 그 티끌과 함께 한다. 그렇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존재하는 것 같다(道沖, 而用之, 或不盈. 淵兮! 似萬物之宗.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湛兮! 似或存 : 4).”

왕필주 不欲示其賢은 다음과 의미가 통한다. “(성인은 일부러 일삼아) 나누거나 가리지 않는다. 잘난 체하지 않는다. 뽐내지 않는다. 우쭐하지 않는다. 다투지 않는다(不自見. 不自是. 不自伐. 不自矜. 不爭 : 22).” 그렇다면, “성인이 그 어짊을 드러내 보이고자 하지 않는이유는 무엇인가. 백성이 곧바로(: 56장 왕필주)” 또는 재빨리(: 59장 왕필주)” 그것에 응하기(: 49장 왕필주)” 때문이다.

왕필주 以均天下를 이해하는 데, 다음을 참조해 볼 만하다. “하늘과 땅은 어질어서, 만물을 버려진 추구芻狗처럼 대한다. 성인은 어질어서, 백성들을 버려진 추구처럼 대한다. 하늘과 땅 사이는 풀무나 피리 같다! 비울수록 세게 나오고, 움직일수록 많이 나온다(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 天地之間, 其猶橐籥乎! 虛而不屈, 動而愈出 : 5).” “은 만물을 이롭게 하는 데 나누지 않고,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일지라도 가리지 않는다. 땅처럼 누구나 머물게 하고, 연못처럼 사심 없이 마음을 쓰며, 하늘처럼 고르게 베풀고, 말을 하는 데 근거가 있으며, 다스리는 데 원칙이 있고, 일을 하는 데 사리에 맞으며, 움직이는 데 한결같다. 오직 나누거나 가르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치우침이 없는 것이다(水善利萬物, 而不爭, 處衆人之所惡. 居善地, 心善淵, 予善天, 言善信, 正善治, 事善能, 動善時. 夫唯不爭. 故無尤 : 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