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59장 왕필주 "백성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데, '아낌'만한 것이 없다" 본문

왕필산책

왕필산책 : 도덕경 제59장 왕필주 "백성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데, '아낌'만한 것이 없다"

독립출판 무간 2017. 12. 24. 10:44


59

 

 

치인사천治人事天, 막약색莫若嗇.

부유색夫唯嗇, 시위조복是謂早服.

조복早服, 위지중적덕謂之重積德.

중적덕重積德, 즉무불극則無不克. 무불극無不克, 즉막지기극則莫知其極.

막지기극莫知其極, 가이유국可以有國.

유국지모有國之母, 가이장구可以長久.

시위심근是謂深根, 고저固柢, 장생長生, 구시지도久視之道.

 

백성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데, ‘아낌만한 것이 없다.

무릇, 오직 아낌’, 이것을 무엇보다 앞서 따름이라 일컫는다.

무엇보다 앞서 따름’, 그것을 일컬어 거듭해서 덕스러움을 쌓음이라 한다.

거듭해서 덕스러움을 쌓으면, 이루어 내지 못할 일이 없다. 이루어 내지 못할 일이 없게 되면, 끝점을 알 수 없게 된다.

그 끝점을 알 수 없게 되면, 나라를 다스릴 수 있게 된다.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을 소유하게 되면, 오래 갈 수 있다.

이것을 일컬어 뿌리가 깊고, 기초가 튼튼하며,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이치라 한다.

 

 

治人事天, 莫若嗇.

莫若‘~만한 것이 없다’(또는 ‘~보다 낫지 못하다’)는 말과 같다. 아낌은 농부農夫의 마음(또는 자세)이다. 농부農人가 밭을 일굴 때, 그 잡초殊類를 없애서 작물 하나만 남기는 데 힘쓴다. (밭과 작물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를 온전하게 하고, (밭과 작물이) 거칠어지거나 병들어서 위태로워지지 않게 하며, (밭과 작물이) 거칠어지거나 병들어서 위태로워지게 되는 원인을 없애기 위해서이다. 위로 하늘의 명령을 받들고, 아래로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데, 이보다 더 나은 방법이 없다(莫若, 猶莫過也. , 農夫. 農人之治田, 務去其殊類. 歸於齊一也. 全其自然, 不急其荒病, 除其所以荒病. 上承天命, 下綏百姓, 莫過於此).

 

해 설

노자의 治人事天, 莫若嗇에서 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그 중요성 때문에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에 대한 다양한 풀이들이 있어 왔다. 그 풀이들을 정리해 보면, ‘사랑한다절약한다는 두 가지 갈래로 압축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성인은 정신을 쓰는데, 아주 안정되어 있으니, 안정되어 있으면, 적게 쓰게 된다. ‘적게 쓰는 것少費을 색이라 한다(聖人之用神也靜, 靜則少費, 少費謂之嗇 :한비자韓非子』「해로解老).”

 

모든 일의 근본은 반드시 먼저 자신을 닦고,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다(凡事之本, 必先治身, 嗇其大寶 :여씨춘추呂氏春秋』「선기先己」〔高誘注 : , 愛也. 大寶, 身也).”

 

노자가 말한 은 이 두 가지 의미를 모두 함축하고 있다. ‘아끼는 마음이 없는데, 어떻게 아낄수 있겠는가? 노자는 뒤에 나오는 제67장에서 자신이 지닌 세 가지 보물을 이야기하는데, 그 가운데 두 가지가 자애로움검소함이다.

그런데 우리말 중에는 이런 두 가지 의미들을 아주 절묘하게 통합시킬 수 있는 단어가 있다. 그것은 바로 아낀다는 말이다. ‘아낀다는 우리말에는 사랑한다는 의미도 들어 있고, ‘절약한다는 의미도 들어 있다. 이 때, ‘절약한다는 것은 단순히 재화財貨의 절약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하나의 욕구나 가치, 목표나 이상 등에 집착해서 자신의 마음과 자세를 그 쪽으로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까지 포함한다(최진석,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경기: 소나무(2014), pp.432~433).

다시 말하면, 노자가 말한 아낌은 백성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데 있어서, 57장의 무력이나 바름”, 58장 왕필주 형벌질서”, “명분질서”, 상벌제도賞罰 등과 같은 통치자 자신의 일부러 일삼는 바에 대한 아낌(절약)’이자, 그것으로 인해서 백성과 하늘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가 망가뜨려지거나(: 49장 왕필주)” “이지러지는(: 58)” 것에 대한 아낌(절약)’이면서, 백성과 하늘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른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지각·감각·의지·행위에 대한 아낌(사랑)’을 의미하는 것이다.

더해서, 노자가 말한 아낌은 다음의 사실을 전제로 삼는다. 첫째, 만물 또는 세계는 관계한다. 이 때, ‘관계한다는 것은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이다. 둘째, 만물 또는 세계는 변화한다. 이 때, ‘변화한다는 것은 운동한다, 작용한다, 활동한다는 의미이다. 셋째, 만물 또는 세계의 관계와 변화는 스스로 혹은 저절로 그러하다. 이 때, ‘스스로 혹은 저절로 그러하다는 것은 자기 원인적 내지 자기 충족적이라는 의미이다.

왕필주 莫過於此에서 아낌을 의미하는데, ‘작물에 대한 농부마음또는 자세에 비유될 수 있다.

 

 

夫唯嗇, 是謂早服.

무엇보다 앞서 따른다早服는 것은 늘 그러함을 따른다는 뜻이다(早服, 常也).

 

해 설

왕필이 말한 은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의미한다.

 

早服, 謂之重積德.

(통치자가) 오직 거듭해서 덕스러움을 쌓으면, (백성이) 성급하(게 따르)고자 하거나 재빠르(게 따르)고자 하지 않는다. 그런 다음에야, 이내 (백성으로 하여금) 그 늘 그러함을 무엇보다 앞서 따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早服, 謂之重積德이라 일컬은 것이다(唯重積德, 不欲銳速. 然後, 乃能使早服其常. 故曰早服, 謂之重積德者也).

 

해 설

왕필주 不欲銳速그 백성이 (통치자의 다스림을 꺼리거나 피하기 위해서 내지 그것에 앞장서거나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 다투거나 싸우는 바가 없는(其民無所爭競 : 58장 왕필주)” 상태 내지 모습을 비유한다.

 

 

重積德, 則無不克. 無不克, 則莫知其極.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의 운동상태 내지 작용모습인 덕스러움)다함이 없기 때문이다(, 無窮也).

 

해 설

노자가 말한 無不克無不爲(37)”와 의미가 통한다.

왕필이 말한 은 모자람, 부족함, 멈춤을 의미하며, “無窮은 언제 어디서나 함께 하고 어울리는(同通 : 40장 왕필주)” 상태 내지 모습을 의미이다.

 

 

莫知其極, 可以有國.

(반대로, 그 능함에) 다함이 있음으로써 나라를 다스리게 되면, 나라를 온전히 다스릴 수 없게 된다(以有窮而莅國, 非能有國也).

 

 

有國之母, 可以長久.

나라가 평안하게 되는 근원所以, 그것을 일컬어 (다스림의) 근본이라 한다. ‘거듭해서 덕스러움을 쌓음’, 이것이 그 근본을 도모하는 일이다. (따라서) 그렇게 한 다음, 말단일삼아야, 이내 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國之所以安, 謂之母. 重積德, 是唯圖其根. 然後, 營末, 乃得其終也).

 

해 설

노자가 말한 는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의 운동상태 내지 작용모습(道之動, 道之用 : 40)”을 의미한다.

왕필이 말한 는 무엇을 이루기 위해서 그 대책과 방법을 꾀한다는 의미이고, “은 다스림 내지 그 수단을 의미하며, “을 의미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