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57장 왕필주 "일부러 일삼은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게 되면, '기이하게' 무력을 일삼게 된다" 본문

왕필산책

왕필산책 : 도덕경 제57장 왕필주 "일부러 일삼은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게 되면, '기이하게' 무력을 일삼게 된다"

독립출판 무간 2017. 12. 23. 13:41


57

 

 

이정치국以正治國, 이기용병以奇用兵. 이무사以無事, 취천하取天下.

오하이지기연재吾何以知其然哉? 이차以此. 천하다기휘天下多忌諱, 이민미빈而民彌貧. 민다이기民多利器, 국가자혼國家滋昏.

인다준교人多俊巧, 기물자기奇物滋起.

법령자창法令滋彰, 도적다유盜賊多有.

고성인운故聖人云, 아무위我無爲, 이민자화而民自化. 아호정我好靜, 이민자정而民自正. 아무사我無事, 이민자부而民自富. 아무욕我無欲, 이민자박而民自樸.

 

(일부러 일삼은)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게 되면, 기이하게 무력일삼게 된다. (그러나) 일부러 일삼지 않음으로써, 천하를 취하게 된다.

내가 어떻게 그렇게 되는지 아는가? 이로써. 천하에 꺼리거나 피해야할 바가 많아질수록 백성이 점점 등을 돌리게 된다. 백성을 이롭게 하는 기물이 많아질수록 나라가 점점 혼란해진다.

백성이 (일부러 일삼은) 지혜俊巧가 많아질수록 기이한 일이 점점 일어나게 된다.

법령이 드러날수록 도적이 점점 늘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성인이 말하기를, “통치자일부러 일삼음이 없으면, 백성이 저절로 다스려진다. 통치자가 고요함을 좋아하면, 백성이 저절로 바르게 된다. 통치자가 일부러 일삼지 않으면, 백성이 저절로 넉넉해진다. 통치자가 일부러 일삼아 하고자 하지 않으면, 백성이 저절로 소박해진다.”

 

 

以正治國, 以奇用兵, 以無事取天下.

(통치자가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로써 나라를 다스리게 되면, 나라가 평안해진다. (그러나 일부러 일삼은)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게 되면, (백성이 그것에 응함으로써) 기이한바름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으로써 천하를 취할 수 있는것이다. 앞 장에서 말하기를, “천하를 취하는 사람은 언제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으며,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으면, 천하를 취하기에 부족하다(48).” 따라서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천하를 취하기에 부족한 것이며, (따라서) 기이하게 무력일삼게 되는 것이다. 무릇, ‘로써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근본을 높임으로써 말단일삼지 않는다. (일부러 일삼은)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백성이) 피하는 바를 세움으로써 말단을 야기한다. (따라서 다스림의) 근본이 서지 않게 되고, 말단이 드러나게 되며, 백성이 따르는 바가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기이하게무력을 일삼는 데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以道治國, 則國平. 以正治國, 則奇正起也. 以無事, 則能取天下也. 上章云, 其取天下者, 常以無事. 及其有事, 又不足以取天下也. 故以正治國, 則不足以取天下, 而以奇用兵也. 夫以道治國, 崇本以息末. 以正治國, 立辟以攻末. 本不立, 而末淺, 民無所及. 故必至於奇用兵也).

 

해 설

왕필이 말한 로써 나라를 다스린다以道治國는 것은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다는 뜻으로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나라를 다스리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하면, 백성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따라서 나라를 다스린다는 뜻으로서,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따라야할 바를 만들어 내거나, 벌이거나, 일으키지(, , : 56장 왕필주)” 않는다는 의미이다.

왕필주 以正治國, 則奇正起는 다음과 의미가 통한다. “(통치자가 그) 밝힘으로써 (백성의) 실정實情을 살피면, 백성또한 그 밝힘으로써 (통치자의) 그것에 응함을 다툰다. (통치자가) 믿지 못함으로써 백성을 살피면, 백성 또한 그 믿지 못함으로써 (통치자의) 그것에 응함을 다툰다(夫以明察之, 物亦競以其明應之. 以不信察物, 物亦競以其不信應之 : 49장 왕필주).”

왕필이 말한 ”, “근본등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을 상징하는 반면, “”, “”, “”, “등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있음을 상징한다.

왕필주 立辟以攻末에서 제정한다(: 41장 왕필주)”는 의미이고, 의 대상은 일부러 일삼은 명분제도, 형벌질서, 법령체계 등을 의미하며, 은 백성이 따르는지 또는 따르지 않는지 그 실정을 밝히거나 살펴서’, 따르지 않는 것에 대해 비난하고 질책하거나, 따르게 하기 위해 다그치거나 몰아붙인다는 의미이다.

왕필주 末淺에서 은 수위가 낮아져 바닥이 드러나 보이는 상태 내지 모습을 비유하는데,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을 의미한다.

 

 

吾何以知其然哉? 以此. 天下多忌諱, 而民彌貧. 民多利器, 國家滋昏.

利器란 무릇 개인적 이로움의 원인이 되는 기물을 뜻한다. (그런데) 백성이 (‘개인적으로 이롭고자 함) 강하면, ‘나라는 약해진다(利器, 凡所以利己之器也. 民强, 則國家弱).

 

해 설

천하 또는 백성이 꺼리거나 피하는 바忌諱에는 나라 간의 전쟁, 과다한 세금, 사회적 혼란 등이 속한다.

天下多忌諱, 而民彌貧에서 을 백성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가 망가뜨려지거나’ ‘잃어버리게 된모습 내지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 볼 수도 있는데, 다음을 참조해 볼 만하다. “무릇, 천하의 마음은 반드시 함께 하지않는다. (따라서) 그 응하는 바를 감히 달리하지 못하게 하면, 그 실정을 즐겁게일삼지못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이내 그 법률체계法網를 복잡하게 만들며, 형벌질서刑罰를 번잡하게 만들어서, 그 경로徑路를 막거나 그 유택幽宅을 부수면, 만물은 그 저절로 그러함自然을 망가뜨리게 되고, 백성은 그 손발을 망가뜨리게 되거나 잃어버리게 되며, 하늘에서 새가 어지럽게 되고, 물속에서 물고기가 어지럽게 된다(夫天下之心, 不必同. 其所應不敢異, 則莫肯用其情矣 若乃多其法網, 煩其刑罰, 塞其徑路, 攻其幽宅, 則萬物失其自然, 百姓失喪其手足, 鳥亂於上, 魚亂於下 : 49장 왕필주).

노자와 왕필이 말한 는 정서적 또는 육체적 편안함便내지 정신적 혹은 물질적 이로움을 의미한다.

 

 

人多俊巧, 奇物滋起.

백성이 (일부러 일삼은) 지혜가 많으면, 교묘함거짓됨이 생겨난다. 교묘함과 거짓됨이 생겨나면, 어긋남일부러 일삼음이 일어난다(民多智慧, 則巧僞生. 巧僞生, 則邪事起).

 

해 설

왕필이 말한 교묘함”, “거짓됨”, “어긋남은 통치자가 일부러 일삼은 ”, “무력”, “바름에 대한 백성이 응한(應之 : 49장 왕필주)” 결과적 상태 내지 모습이면서. 통치자의 일부러 일삼은 ”, “무력”, “바름에 의해서 백성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가 망가뜨려진(: 49장 왕필주)” 결과적 상태 내지 모습이다.

 

 

法令滋彰, 盜賊多有.

(일부러 일삼은) ‘바름을 세워서 (백성이) 어긋남을 일삼지 않도록 만들고자 하기 때문에 기이하게 무력이 일삼아지게 된다. (백성이) 꺼리거나 피하는 바를 많게 해서 등 돌림을 부끄럽게 여기도록 만들고자 하기 때문에 백성이 점점 등을 돌리게 된다. (‘개인) 이롭게 하는 기물로써 나라를 강하게 만들고자 하기 때문에 나라가 더욱 혼란해진다. 모두 근본을 내버려 둔 채 말단을 다스리는 격이다. 따라서 그것에 이르는 것이다(立正, 欲以息邪, 而奇兵用. 多忌諱, 欲以恥貧, 而民彌貧. 利器, 欲以强國者也, 而國愈昏多. 皆舍本以治末. 故以致此也).

 

 

故聖人云, 我無爲, 而民自化. 我好靜, 而民自正. 我無事, 而民自富. 我無欲, 而民自樸.

통치자(일부러 일삼아) 하고자 하는 바, 백성이 그것을 재빨리 따른다. (그러나) 통치자(일부러 일삼아) 하고자 하는 바, 오직 (일부러 일삼아) 하고자 하는 바가 없음, 백성 또한 (일부러 일삼아) 하고자 함이 없게 된다. (따라서) 저절로 소박해진다.” 이 네 가지는 근본을 높임으로써 말단을 일삼지 않는일이다(上之所欲, 民從之速也. 我之所欲, 唯無欲, 而民亦無欲. 而自樸也. 此四者, 崇本以息末也).

 

해 설

왕필주 民從之速에서 응한다(應之 : 49장 왕필주)”는 의미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