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48장 왕필주 "뛰어남을 일삼는 것은 날마다 보태는 일이다" 본문

왕필산책

왕필산책 : 도덕경 제48장 왕필주 "뛰어남을 일삼는 것은 날마다 보태는 일이다"

독립출판 무간 2017. 12. 19. 20:10


48

 

 

위학일익爲學日益.

위도일손爲道日損.

손지우손損之又損, 이지어무위以至於無爲. 무위無爲, 이무불위而無不爲.

취천하取天下, 상이무사常以無事.

급기유사及其有事,

부족이취천하不足以取天下.

 

뛰어남을 일삼는 것은 날마다 보태는 일이다.

를 일삼는 것은 날마다 덜어내는 일이다.

덜어내고 들어내면,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에 이르게 된다. 일부러 일삼음이 없으면, 일삼지 못함이 없게 된다.

천하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언제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어야 한다.

일부러 일삼음이 있게 되면, 천하를 다스리기에 부족하다.

 

 

爲學日益.

(“爲學) 그 능한 바를 (남들보다) 앞서게 하기위해서 힘쓰거나 앞서기를 바라며, 그 익힌 바를 (남들보다) 많게 하기위해서 힘쓰거나 많아지기를 바란다는 말이다(務欲, 進其所能, 益其所習).

 

해 설

노자가 말한 爲學에서 일부러일삼음이 반영되지 않는 바로서의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를 의미하며, 일부러일삼음이 반영된 바로서의 을 의미한다. 반면, 왕필이 말한 爲學에서 일부러일삼음이 반영된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로서 을 의미하며, 일부러일삼음이 반영된 바로서 을 의미한다. 그 능한 바를 남들보다 앞서게 하기 위해서 힘쓰거나 앞서기를 바라며(또는 앞서고자 하며), 그 익힌 바를 남들보다 많게 하기 위해서 힘쓰거나 많아지기를 바라는(또는 많아지고자 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요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그 능한 바가 남들보다 앞서는 것이나 그 익힌 바가 남들보다 많은 것높이거나 귀하게 여기는(, : 3)”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노자의 爲學일부러일삼음이 반영되지 않은 바로서 의 긍정적인 양태 또는 양식을 부각시킨 표현인 반면, 왕필의 爲學일부러일삼음이 반영된 바로서 의 부정적인 양태 혹은 양식을 부각시킨 표현인 것이다.

 

 

爲道日損.

(“爲道) ‘텅 빔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으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힘쓰거나 되돌아가고자 한다(또는 되돌아가기를 바란다)는 말이다(務欲, 反虛無也).

 

해 설

왕필주 反虛無에서 는 의미에 있어서 차이가 크지 않다.

텅 빔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으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힘쓰거나 되돌아가고자 한다(또는 되돌아가기를 바란다)는 것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40)”과 언제 어디서나 함께하고 어울리기(同通 : 40장 왕필주)” 위해서 힘쓰거나 그렇게 하고자 한다(또는 그렇게 하기를 바란다)는 의미이고, 만물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따르기(: 25)” 위해서 힘쓰거나 그렇게 하고자 한다(또는 그렇게 하기를 바란다)는 의미이며,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하지 않기 위해서 힘쓰거나 그렇게 하고자 한다(또는 그렇게 하기를 바란다)는 의미이다.

 

 

損之又損, 以至於無爲. 無爲, 而無不爲.

일부러 일삼음이 있으면, 망가뜨리는 바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음이 없게 되면, (망가뜨리는 바가 없게 되어서) 이내 일삼지 못하는 바가 없게 되는 것이다(有爲, 則有所失. 故無爲, 乃無所不爲也).

 

해 설

왕필주 有爲, 則有所失에서 해친다(: 45장 왕필주)”는 의미이다.

왕필주 無爲, 乃無所不爲也는 제47장 왕필주 明物之性, 因之而已. 故雖不爲, 而使之成矣와 의미가 통한다.

 

 

取天下, 常以無事

(천하를) 다스림에 있어서, 언제나 (無事) 말미암는다는 말이다(, 常因也).

 

 

及其有事,

(“有事) 자신으로부터 (말미암아) 일삼는다는 말이다(自己造也).

 

해 설

왕필주 自己造에서 말미암음내지 따름(: 25)”을 의미하며, 는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른 감각, 지각, 의지, 행위를 의미한다.

 

 

不足以取天下.

다스림의 근본을 망가뜨리기 때문이다(失統本也).

 

해 설

왕필이 말한 統本은 백성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 그리고 그것에 기반한 생명, 생활 등을 의미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