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자연장(葬) : "자연으로 돌아가리라" 국민 절반 희망하지만 실제 이용률은 12% 그쳐 본문
자연장(葬) : "자연으로 돌아가리라" 국민 절반 희망하지만 실제 이용률은 12% 그쳐
장묘문화의 새 대안으로 자연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연에서 와서 자연으로 돌아가는 취지를 구현하는 자연장은 고비용 장례구조와 묘지강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유력한 대안으로 꼽힌다. 하지만 우리의 자연장은 묘비만 없을 뿐 납골묘와 다름없는 모습을 갖추고 있는데다 나무와 숲 등이 충분히 조성되지 않는 등 아직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다는 지적이다. 장묘문화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만큼 수목장으로 대표되는 자연장 정책이 제대로 자리를 잡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통계청의 ‘2015 사회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선호하는 장묘 방법으로 ‘화장 후 자연장(수목장 포함)’이 4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화장 후 봉안당(39.8%), 매장(12.6%), 기타(2.1%) 등의 순이었다. 자연장은 기존의 산림을 그대로 사용하는 수목장과 인공적으로 부지를 조성해 수목·화초·잔디 등과 함께 봉분을 묻는 수목형 자연장지 등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된다. 자연장지는 봉분 대신 개인표식을 설치한다. 수목장과 자연장은 비용이 저렴하고 묘지처럼 관리하는 수고가 없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하지만 이러한 열풍에도 국가 전체적으로 자연장에 대한 인식과 이용률은 낮은 편이다. 한국장례문화진흥원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사망자 중 실제 자연장 이용률은 12.7%, 봉안은 58.2%, 매장은 22.7%였다. 선호도에 비해 자연장을 직접 실행하는 비율은 4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막상 장례에 들어가면 마지막 가는 길이라도 부모님께 최대한 예우를 갖추고 싶어 해 자연장을 꺼린다는 게 상조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부모 생전에 사전방문차 자연장지를 찾았다가 ‘어떻게 나무 하나를 두고 여러 사람의 유골을 동시에 둘 수 있느냐’고 고개를 저으며 돌아가는 경우도 종종 있다는 후문이다.
한편 자연장 문화가 활성화되려면 관련 법규도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대표적으로 대부분의 시·군에서는 화장 및 봉안시설, 자연장지 등 장사시설의 설계를 담당할 업체를 선정할 때 응찰 자격을 ‘자기 지역 내 업체’로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지자체에서 장사시설을 두는 것은 수 십년에 한 번 있는 일인 만큼 관련 기술과 시설투자에 나설 지역 기업은 사실상 드물어 장사 관련 시설이 전국적으로 하향 평준화 수준에 머무르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민 의식을 바꾸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필도 을지대 장례지도학과 교수는 “상조회사나 장례식장 관계자들은 자연장이 확산하면 수의 판매나 알선비용 등 기존 영업에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노인들 외에도 장묘 방식 결정에 큰 결정권을 행사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 불필요한 우려를 해소하고 자연장 확산에 기여하도록 독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http://www.sedaily.com/NewsView/1L19GYL971
'장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례절차 : 사전 장례준비 절차(임종전부터 사망시까지) (0) | 2016.09.22 |
---|---|
산림조합중앙회, 수목장 문화 이끈다! (0) | 2016.09.22 |
전통 장례 문화 : 대구지역 상여소리 가사, 경북 안동지역 상여소리 가사 (0) | 2016.09.21 |
전통 장례 문화 : 전북 남원 읍면 상여소리 가사모음 (0) | 2016.09.21 |
전통 장례 문화 : 씻김굿, 죽은 이의 영혼을 저승으로 이끌다! (0) | 2016.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