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초원담노" 제13장 :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내버리고 저절로 그러한 바를 남겨놓은 다음에야 본문
제 13 장
총욕약경寵辱若驚, 귀대환약신貴大患若身. 하위총욕약경何謂寵辱若驚? 총위하寵爲下. 득지약경得之若驚, 실지약경失之若警. 시위총욕약경是謂寵辱若驚. 하위귀대환약신何謂貴大患若身? 오소이유대환자吾所以有大患者, 위오유신爲吾有身. 급오무신及吾無身, 오유하환吾有何患? 고귀이신위천하자故貴以身爲天下者, 가이기천하可以寄天下, 애이신위천하자愛以身爲天下者, 가이탁천하可以託天下.
총애를 받거나 천대를 받거나 놀란 듯이 하고, 큰 환란을 내 몸처럼 귀하게 여겨라. ‘寵辱若驚’, 어째서 그런가? 총애가 사람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총애를 받아도 놀란 듯이 하고, 천대를 받아도 놀란 듯이 하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寵辱若驚’이라 일컬은 것이다. ‘貴大患若身’, 어째서 그런가? 큰 환란이 생기는 것은 나에게 몸이 있기 때문이다. 내게 몸이 없다면, 어찌 나에게 큰 환란이 생기겠는가? 그러므로 자기 몸을 천하만큼 귀하게 여기는 사람에게 천하를 맡길 수 있는 것이고, 자기 몸을 천하만큼 아끼는 사람에게 천하를 다스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있는 그 “몸”으로써 삶을 (두텁게) 가꾸게 되면, 귀·눈·입·코·마음·의식의 여섯 가지 감각기관이 뒤섞여 (밖으로 행동이) 어지러워지고, 음란하고 사악한 기운이 (생겨나) 안으로 (마음을) 다스리게 된다. (따라서 그 “몸”의)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形를 내버리고忘 저절로 그러한 바照를 남겨놓은遺 다음에야, 물 위를 걷거나 불 위를 밟을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불에 타거나 물에 빠지지 않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있는 그 “몸”으로써 “천하”를 다스리게 되면, (백성이 그) 머리(首; 권세)를 두려워하고 (그) 꼬리(尾; 형벌)를 두려워해서, (그 머리가 자신을) 위태롭게 하고 (그 꼬리가 자신을) 해롭게 하더라도 겉으로는 그렇지 않은 듯이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백성이) “총애를 받아도 놀라고 천대를 받아도 놀라더라도”, (총애를 받아서) 얻는 것과 (천대를 받아서) 잃는 것이 없게 한 다음에야, 백성과 그 삶을 다스릴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백성의) 근심이나 두려움을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有其身以養生, 則六鑿紛然, 而淫沴內政. 忘形遺照, 然後, 可以赴蹈水火, 而不焚溺. 有其身以爲天下, 則畏首畏尾, 而危害外薄. 驚寵辱, 齊得失, 然後, 可以御萬變, 而無憂慄).
'초원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원담노" 제15장 : 즐거움과 편안함은 진실로 이름을 어그러뜨린다 (0) | 2018.07.02 |
---|---|
"초원산책" 제14장 : 도道, 그것은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다 (0) | 2018.06.26 |
"초원담노" 제12장 : 배를 위하는 것과 눈을 위하는 것 (0) | 2018.06.11 |
"초원담노" 제11장 : '있음'은 '없음'이 없으면 그 이로움을 일삼을 수 없다 (0) | 2018.06.09 |
"초원담노" 제10장 : 사람이 타고나는 기운을 온전하게 하거나 지극히 부드럽게 하는 일은 저절로 그러한 일삼고자 함을 없게 하는 일이 아니다 (0) | 2018.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