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초원담노" 제4장" : 도道는 천지 사이 언제 어디에나 있다 본문
제 4 장
도충이용지道冲而用之, 혹불영或不盈. 연혜淵兮! 사만물지종似萬物之宗. 좌기예挫其銳, 해기분解其紛. 화기광和其光, 동기진同其塵. 담혜湛兮! 사혹존似或存. 오부지수지자吾不知誰之子. 상제지선象帝之先.
도道는 텅 비어 있으면서 그것을 쓰는데, 언제나 (모자라거나) 넘치지 않는다. 깊구나! 만물의 근원인 것 같다. 그 날카로움은 꺾지만, 그 얽힘은 푼다. 그 빛남과 어울리지만, 그 티끌과 함께 한다. 맑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존재하는 것 같다. 나는 누구의 자식인지 알지 못하겠다. 조물주帝보다 앞서는 것 같다.
“道”는 천지 사이에 (언제 어디나) 있다. (그러나) “텅 비어” 있는 듯하다. (따라서) 아무 것도 없는 것 같다. (그러나 “道”의 운동과 작용은 비유하면) 따라 내어도 말라붙지 않고, 따라 넣어도 가득 차지 않는 (‘연못’과 같이 “깊(크)”)다. ‘그릇’은 크고(깊고) 작음(얕음)이 (정해져) 있어서, 따라 내어서 말라붙게 하거나, 따라 넣어서 가득 차게 할 수 있지만, (“道”의 운동과 작용은 “깊고(크고)” 얕음(작음)을 가늠할 수 없어서, 말라붙지 않게 하려면 따라 내기를) 언제 멈추어야 할지, (언제 따라 넣기를 멈추어야 가득 차서) 넘치지 않게 될지 알 수가 없다. 이와 같이 (“道”의 운동과 작용이) “깊어서(커서)”, (그) 깊이(크기)가 헤아려지지 않기 때문에, “만물의 근원”이 되는 것이다. “不知誰之子”는 (누구의 아들인지) 알 길이 없다는 뜻이다. “象帝之先”은 (“道”의 운동과 작용이 “깊은(큰)”) 모습을 비유한 것으로서, (그것이) 끝이 없다는 뜻이다(道在天地之間. 冲然. 若虛然. 酌焉而不竭, 注焉而不滿. 器之大小, 無不取足, 而不知何時止而不盈. 此所以淵, 深不測, 而爲萬物宗也. 不知誰之子, 稱謂路絶也. 象帝之先, 形似喩, 窮也).
'초원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원담노 제7장 : 그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라서 생겨나기 때문에, 하늘과 땅은 일부러 일삼아 살아가지 않는다 (0) | 2018.05.29 |
---|---|
"초원담노" 제6장 : 계곡의 덕스러움德이 오래 살게 되는 이치인 이유는 오로지 겸손하게 아래에 머묾과 아득히 아래로 낮춤의 극치이기 때문이다. (0) | 2018.05.27 |
"초원담노" 제3장 : 성인의 다스림은 백성의 저절로 그러한 마음을 근본으로 삼는다. (0) | 2018.05.23 |
"초원담노" 제2장 : 서로가 말마암아 이루어진 것은 아름답거나 착하지 않다 (0) | 2018.05.21 |
"초원담노" 제1장 : '없음'도 독립적인 '없음'이고, '있음'도 독립적인 '있음'이다 (0) | 2018.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