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64장 왕필주 "그 평안할 때, 그 위급해질 때를 대비하기 쉽다" 본문

왕필산책

왕필산책 : 도덕경 제64장 왕필주 "그 평안할 때, 그 위급해질 때를 대비하기 쉽다"

독립출판 무간 2017. 12. 25. 14:25


64

 

 

기안其安, 이지易持. 기미조其未兆, 이모易謀.

기취其脆, 이반易泮. 기미其微, 이산易散.

위지어미유爲之於未有.

치지어미란治之於未亂.

합포지목合抱之木, 생어호말生於毫末. 구층지대九層之臺, 기어누토起於累土. 천리지행千里之行, 시어족하始於足下. 위자爲者, 패지敗之. 집자執者, 실지失之.

시이성인무위是以聖人, 無爲. 고무패故無敗. 무집無執. 고무실故無失. 민지종사民之從事, 상어기성常於幾成. 이패지而敗之.

신종여시愼終如始, 즉무패사則無敗事. 시이성인是以聖人, 욕불욕欲不欲, 불귀난득지화不貴難得之貨.

학불학學不學, 복중인지소과復衆人之所過.

이보만물지자연以輔萬物之自然, 이불감위而不敢爲.

 

그 평안할 때, () 위급해질 때를 대비하기 쉽다. 그 기미가 드러나지 않았을 때, () 어려워질 때를 대비하기 쉽다.

그 연약할 때, 나누기 쉽다. 미미할 때, 흩기 쉽다.

아직 평안하고, 기미가 드러나지 않았을 때, 그것을 일삼아라.

아직 연약하고, 미미할 때, 그것을 다스려라.

아름드리나무는 작은 싹에서부터 자라난다. 구층 누대는 한 삼태기의 흙에서부터 세워진다. 천리 길은 한 걸음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러므로) 일부러 일삼는사람은 그것을 어그러뜨린다. 일부러 일삼아 잡아끄는사람은 그것을 망가뜨린다.

그러므로 성인은 일부러 일삼음이 없다. 그러므로 어그러뜨림이 없다. 일부러 일삼아 잡아끎이 없다. 그러므로 망가뜨림이 없다. (그런데) 사람들은 언제나 이미 위급해지거나 기미가 드러나거나 딱딱해지고 강해지거나 뚜렷해져서야幾成, 극복하고자 하거나 해결하고자 하거나 나누고자 하거나 흩고자 한다從事. 그러므로 그것을 어그러뜨리게 된다.

을 삼가기를 시작처럼 하면, 사안을 어그러뜨림이 없다. 그러므로 성인은 사람들이 일삼고자 하는 바를 일삼고자 하지 않으며,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얻고자 하는)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보통 사람들이 배우려 하지 않는 것을 배우며, (그렇게 함으로써) 사람들의 잘못된 바를 되돌리는 것이다.

만물이 스스로 그러한 바를 따르도록 돕지만, (그것을) 감히 일부러 일삼지 않는 것이다.

 

 

其安, 易持. 其未兆, 易謀.

그 편안할 때, () 위급해질 때를 잊지 말고, 그것에 대비해야 한다. (그 편안할 때, ) 어려워질 때를 잊지 말고, 그것에 대비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위급해지게 되거나 어려워지게 되었을 때) 수고롭지 않게 된다. 따라서 라고 일컬은 것이다(以其安, 不忘危, 持之. 不忘亡, 謀之. 無功之勢. 故曰易也).

 

해 설

왕필주 持之에서 를 의미한다.

왕필주 謀之에서 는 그 극복 또는 해결을 위한 대책 혹은 방법을 꾀한다는 의미이며, 을 의미한다.

 

 

其脆, 易泮. 其微, 易散.

(‘아직부드럽고 약할 때 나누거나”, ‘아직미미할 때 흩는일이) 비록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의 영역을 망가뜨리고일부러 일삼음이 있음의 영역으로 들어가는(50)” 것이 될지라도, 미미함이나 부드럽고 약함으로 인하여, 큰 수고로움과 더불어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쉽다는 것이다. (“其安易持”, “其未兆易謀”, “其脆易泮”, “其微易散”) 이 네 가지는 모두 (‘아직편안할 때 대비하거나, ‘아직기미가 드러나지 않았을 때 대비하거나, ‘아직부드럽고 약할 때 나누거나, ‘아직미미할 때 흩지 않음으로써, ‘이미위급해진 다음에 극복하고자 하거나, ‘이미어려워진 다음에 해결하고자 하거나, ‘이미딱딱해진 다음에 나누고자 하거나, ‘이미뚜렷해진 다음에 흩고자 할 때) 큰 수고로움과 더불어 하게 되는 결과를 삼가야 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지금, 당장) 위급하지 않다고 해서 대비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지금, 당장) 미미하다고 해서 흩지 않을 수 없다. (지금, 당장) 위급하지 않다고 해서 대비하지 않으면, 일부러 일삼아야 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 당장) 미미하다고 해서 흩지 않으면, 큰 수고로움과 더불어 해야 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큰 수고로움과 더불어 하게 되는 환난을 삼가듯, 환난의 시작을 삼간다면, 사안을 어그러뜨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雖失無入有, 以其微脆之故, 未足以興大功. 故易也. 此四者, 皆說愼終也. 不可以無之故, 而不持. 不可以微之故, 而不散也. 無而不持, 則生有焉. 微而不散, 則生大焉. 故愼終之患, 如始之禍, 則無敗事).

 

해 설

왕필주 以興大功에서 大功일부러 일삼음이 있음을 비유한다.

왕필이 말한 은 조심스럽게 가리거나 꺼린다는 말이다.

왕필이 말한 (63장 왕필주)”과 의미가 통하는데, ‘이 다스림에 있어서 통치자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음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더해지는(: 62)” 상대적인 수준 또는 정도가 끝점에 다다른 상태 내지 모습을 의미하는 반면, ‘은 다스림에 있어서 통치자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음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있음더해지는상대적인 수준의 정점頂點 내지 정도의 극점極點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爲之於未有.

(“未有는 앞서 말한) “그 편안한 때그 미미한 때를 일컫는다(謂其安, 未兆也).

 

 

治之於未亂.

(“未亂은 앞서 말한) “미미할 때부드럽고 약할 때를 일컫는다(謂微, 脆也).

 


合抱之木, 生於毫末. 九層之臺, 起於累土. 千里之行, 始於足下. 爲者, 敗之. 執者, 失之.

마땅히, 큰 수고로움과 더불어 하게 되는 결과를 삼감으로써 미미할 때 흩어야 한다. (마땅히) 미미함을 삼감으로써 환난을 없애야 한다. 그러나 (흩음이나 없앰에 있어서 통치자가) 일부러 일삼아 제기하거나 일부러 일삼음으로써 그렇게 되도록 다스리거나 (일부러 일삼은) 법률질서명분질서(49장 왕필주)로써 그렇게 되도록 잡아끌면, 오히려 (백성의) 일부러 일삼음일부러 일삼고자 함을 낳게 된다. (백성의) 교묘함(57)”회피함(49장 왕필주)”이 더욱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敗失라는 것이다(當以愼終, 除微. 愼微, 除亂. 而以施爲治之, 形名執之, 反生事原. 巧辟滋作. 故敗失也).

 

해 설

노자가 말한 毫末”, “累土”, “足下는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비유한다.

왕필이 말한 큰 수고로움과 더불어 하게 되는 환난·과 의미가 통한다.

왕필주 以施爲治之, 形名執之는 통치자가 정서적 또는 육체적 편리함 내지 정신적 혹은 물질적 이로움을 추구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만들어 내거나, 벌이거나, 일으킴(, , : 56장 왕필주)”으로써, 백성으로 하여금 일부러 일삼아 따르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하면, “以施爲治之, 形名執之의 의미는 聖人常無心, 以百姓心爲心(49)”의 의미와 상반되는 것이다.

왕필주 反生事原에서 은 일부러 일삼아 추구하거나 추구하고자 함(, : 55장 왕필주)”을 의미한다.

왕필주 巧辟滋作에서 교묘함거짓됨이나 어긋남(, : 57장 왕필주)”으로서, 통치자가 일부러 일삼은 법률질서명분질서’, “무력이나 바름(, : 57)”’ 등에 대한 백성이 응한(應之 : 49장 왕필주)” 결과적 상태 내지 모습이면서, 통치자의 일부러 일삼은 법률질서명분질서’, ‘무력이나 바름에 의해서 백성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가 망가뜨려진결과적 상태 내지 모습이다.

 

 

是以聖人, 無爲, 故無敗. 無執, 故無失. 民之從事, 常於幾成, 而敗之.

(“民之從事, 常於幾成, 而敗之의 이유는) “큰 수고로움과 더불어 하게 되는 결과를 삼가지않기 때문이다(不愼終也).

 

 

愼終如始, 則無敗事. 是以聖人, 欲不欲, 不貴難得之貨.

(“聖人, 欲不欲의 이유는 일부러 일삼아) 좋아하거나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일이 비록 미미한것 같지만, (그것으로 인하여, 백성의 일부러) 다툼, 받듦, 일삼음이 더불어 하기 때문이다. (“不貴難得之貨의 이유는) “難得之貨가 비록 아무 것도 아닌 것 같지만, (그것으로 인하여, 백성의 일부러) 탐냄, 도둑질, 일삼음이 일어나기 때문이다(好欲雖微, 爭尙爲之興. 難得之貨雖細, 貪盜爲之起也).

 

해 설

是以聖人, 欲不欲, 不貴難得之貨는 다음과 의미가 통한다. “뛰어남을 높이지 않으면, 백성이 다투지 않는다.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이 도둑질을 하지 않는다. 일부러 일삼고자 할 만한 것을 보여주지 않으면, 백성의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는다(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 3).”

 

 

學不學, 復衆人之所過.

(일부러 일삼아) 배우지 않아도 능한 것이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배우지 않아도 능한 바에 대해서 (일부러 일삼아) 깨우치(고자 하)는 것은 잘못이다. 따라서 學不學, 以復衆人之過이라는 것이다(不學而能者, 自然也. 喩於不學者, 過也. 故學不學, 以復衆人之過).

 

해 설

노자가 말한 은 제63장 왕필주 以不言, 爲敎와 의미가 통하는데, “직접 귀로 듣게 하거나 눈으로 보게 함(用聰明 : 49장 왕필주)”으로써, 직접 배우고 익히게 한다는 뜻으로서, “이 아니라 삶으로 가르치거나(行不言之敎 : 2)”, 언제나 어디서나 함께 하면서 서서히 맑아지게 하거나, 서서히 따라하게 한다(靜之徐淸, 動之徐生 : 15)”는 의미이다.

 

 

以輔萬物之自然, 而不敢爲.

 

해 설

여기서, 노자가 말하는 도는 만물 또는 세계에 대한 상징으로서, 만물 또는 세계의 관계적·변화적 존재양태와 자기 원인적 내지 자기 충족적 존재양식을 압축해 놓은 기호라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왜냐하면, 첫째 以輔萬物之自然, 而不敢爲는 제1常道常名에서 , 4장의 似萬物之宗似或存”, 6장의 綿綿若存用之不勤”, 14장의 混而爲一”, 21장의 其中有象”, “其中有物”, “其中有精”, “其名不去”, 25장의 有物混成”, “獨立不改”, “周行而不殆”, 32장의 譬道之在天下, 猶川谷之與江海”, 34장의 大道氾兮! 其可左右”, 40장의 天下萬物生於有, 有生於無”, 42장의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 51장의 夫莫之命而常自然”, 54장의 子孫以祭祀不轍”, 59장의 是謂深根固柢, 長生久視之道등과 의미가 통하기 때문이고, 둘째 以輔萬物之自然, 而不敢爲에서 以輔萬物之自然은 만물에게 自然이 내재되어 있음을 전제하는 표현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며, 셋째 만물이 자연을 내포하는 것이라면 땅도 자연을 내포하는 것이고, 하늘도 자연을 내포하는 것이므로, 노자가 제25장에서 말한 人法之,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의 의미는 사람도 자연을 따르고’, ‘땅도 자연을 따르며’, ‘하늘도 자연을 따른다는 의미로 확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