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55장 왕필주 "품은 덕스러움이 두터운 사람은 어린아이에 비유된다" 본문
제 55 장
함덕지후含德之厚, 비어적자比於赤子. 봉채훼사불석蜂蠆虺蛇不螫, 맹수불거猛獸不據, 확조불박攫鳥不搏.
골약근유骨弱筋柔, 이악고而握固.
미지빈모지합未知牝牡之合, 이전작而全作.
정지지야精之至也! 종일호終日號, 이불사而不嗄.
화지지야和之至也! 지화왈상知和曰常.
지상왈명知常曰明.
익생왈상益生曰祥.
심사기왈강心使氣曰强.
물장즉로物壯則老. 위지부도謂之不道. 부도不道, 조이早已.
품은 덕스러움德이 두터운 사람은 어린아이에 비유된다. 벌이나 전갈이나 독사가 쏘지 않고, 맹수가 덮치지 않으며, 독수리가 낚아채지 않는다.
뼈가 약하고 근육이 부드럽지만, 움켜쥠이 견고하다.
아직 남녀관계를 알지 못하지만, 온전히 자라난다.
(도道의) 실제성精이 지극하다! 하루 내내 울어도 목이 쉬지 않는다.
(도道의) 어울림和이 지극하다! (그러므로 도道의) ‘어울림’을 아는 것을 (도道의) ‘늘 그러함常’(을 아는 것)이라 한다.
(도道의) ‘늘 그러함’을 아는 것을 ‘밝음明’이라 한다.
(그러므로 일부러 일삼아) 삶을 보태는 것을 일컬어 ‘재앙祥’이라 한다.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은) 마음이 기운을 부리는 것을 ‘굳셈强’이라 한다.
(그러므로 일부러 일삼아) 갑자기 자라난 것은 빨리 시든다. 이것을 일컬어 ‘도道에 맞지 않다’고 한다. 도道에 맞지 않기 때문에, 일찍 끝나버리는 것이다.
含德之厚, 比於赤子. 蜂蠆虺蛇不螫, 猛獸不據, 攫鳥不搏.
“어린아이”는 (일부러 일삼아) 추구하는 바求나 (일부러 일삼아) 추구하고자 하는 바欲가 없다. 뭍 사물을 (일부러 일삼아) 해치(기를 추구하거나 일부러 일삼아 해치기를 추구하고자 하)지 않는다. 따라서 (벌, 전갈, 독사와 같은) 독충들이 어린아이를 해치지 않는 것이다. “품은 덕스러움德이 두터운”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만물物을 해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온전함全을 훼손하는 만물物이 없게 되는 것이다(赤子, 無求無欲. 不犯衆物. 故毒蟲之物, 無犯之人也. 含德之厚者, 不犯於物. 故無物以損其全也).
【해 설】
왕필주 “無物以損其全”에서 全은 만물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 내지 그것에 따른 생겨남, 자라남, 시듦, 운동, 작용, 활동, 감각, 지각, 의지, 행위를 의미한다.
骨弱筋柔, 而握固.
“부드러움과 연약함(제40장 왕필주)”으로써 움켜쥐기之 때문이다. 따라서 (그) 움켜쥠이 아주周 견고할 수 있는 것이다(以柔弱之故. 故握能周固).
【해 설】
왕필주 “以柔弱之故”에서 柔弱은 ‘일부러 일삼아 추구하거나 일부러 일삼아 추구하고자 하는 바가 없다’는 뜻으로서, 행위의 주체 또는 대상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따른다(法 : 제25장)”는 의미이다.
未知牝牡之合, 而全作.
“作”은 자라난다長는 말이다. (“어린아이”는) 그 몸을 훼손하는 사물이 없다. 따라서 온전하게 자라날 수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품은 덕스러움德이 두터운” 사람은 그 덕스러움德을 훼손시키거나, 그 참된 바眞를 변질시킬 수 있는 사물이 없다. “부드럽고 연약하다(제40장 왕필주).” (따라서 그는 만물과) 다투지 않고, (만물을) 부러뜨리지 않으며, 꺾지 않는다(“未知牝牡之合, 而全作”의 이유는) 모두 이와 같다(作, 長也. 無物以損其身, 故能全長也. 言, 含德之厚者, 無物可以損其德, 渝其眞. 柔弱. 不爭而不摧折. 皆若此也).
【해 설】
왕필이 말한 “不爭”은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나누거나(또는 나누고자 하거나)分’ ‘가르지(또는 가르고자 하지)別’ 않는다는 의미이다.
精之至也. 終日號, 而不嗄.
(“어린아이”는 일부러 일삼아) 다투거나爭 (일부러 일삼아) 다투고자 하는欲 마음이 없다. 따라서 하루 내내 소리 지르더라도聲 목이 쉬지 않는 것이다(無爭欲之心. 故終日出聲, 而不嗄也).
【해 설】
제21장 “窈兮冥兮! 其中有精. 其精甚眞, 其中有信”, 제21장 왕필주 “窈冥, 深遠之歎. 深遠, 不可得而見. 然而萬物由之. 其可得見以定其眞. 故曰窈兮冥兮! 其中有精也”, “信, 信驗也. 物反窈冥. 則眞精之極得, 萬物之性定. 故曰其精甚眞, 其中有信也” 등으로 미루어 볼 때, 노자가 말한 ‘精’은 사물(物 ; things)의 정황情況이나 사건(事 ; event)의 정세情勢에 대한 직접적인 ‘감각’을 통해서 ‘지각’된 사물이나 사건의 ‘실제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의 정황이나 사건의 정세에 대한 간접적인 ‘유추’를 통해서可得見以定, ‘지각’된信驗 사물이나 사건의 ‘실제성眞’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노자가 말한 “至”는 “참된 바(眞 : 제21장)”를 의미한다.
和之至也. 知和曰常.
만물은 (도道의) ‘어울림’을 ‘늘 그러함’으로 삼는다. 따라서 (도道의) ‘어울림’을 알게 되면, ‘늘 그러함’을 얻게 되는 것이다(物, 以和爲常. 故知和, 則得常也).
【해 설】
노자가 말한 “和”는 ‘섞여서 하나가 된 상태’ 내지 ‘하나로 섞여진 모습’을 의미하는 것으로서(混而爲一 : 제14장), 제40장에서 왕필이 말한 “同通”과 의미가 통한다.
知常曰明.
“밝지도 않고 어둡지도 않음, 따뜻하지도 않고 차갑지도 않음, 그것이 ‘늘 그러함’이다(제16장 왕필주).” (따라서 이름 붙이려고 해도 이름 붙일 수 있는) 모양이 없다. (따라서 보려고 해도) 잘 볼 수 없다. (따라서 “그것을 아는 것”을) 일컬어 “밝다”고 하는 것이다(不曒, 不昧, 不溫, 不涼, 此常也. 無形. 不可得而見. 曰明也).
益生曰祥.
‘삶生’은 (살아지면서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보태지면 안 된다. (‘삶生’에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보태지게 되면, (그 ‘삶生’이) 일찍 끝나버리게 된다(生, 不可益. 益之, 則夭也).
【해 설】
왕필주 “生, 不可益”에서 益은 “일부러 일삼음과 일부러 일삼고자 함(事欲 : 제52장 왕필주)”의 원인이 되는 정서적 또는 육체적, 정신적 혹은 물질적 편안함 내지 이로움을 추구하는 마음이 “두터워진다(之厚 : 제50장 왕필주)”는 의미이다.
왕필주 “益之, 則夭也”에서 夭는 “삶이 없는 영역으로 들어가게 된다(之無生之地 : 제50장 왕필주)”는 의미이다.
心使氣曰强.
마음은 마땅히 일부러 일삼고자 함有이 없어야 한다. (마음이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있어서) 기운을 부리게 되면, 굳고 단단해진다(心, 宜無有. 使氣, 則强).
【해 설】
이 장에서 노자가 말한 “强”은 의미가 부정적이다. ‘기운’을 부리는 ‘마음’에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반면, 제52장에서 노자가 말한 “强”은 의미가 긍정적이다. 그 ‘마음’이 ‘부드러움’을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守柔曰强). 따라서 왕필주 “使氣, 則强”에서 强을 ‘굳고 단단함剛’으로 풀이함으로써, 이어지는 “物壯則老. 謂之不道. 不道早已”와 무리 없이 연결되도록 하였다.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57장 왕필주 "일부러 일삼은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게 되면, '기이하게' 무력을 일삼게 된다" (0) | 2017.12.23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56장 왕필주 "도를 잘 아는 사람은 말로 하지 않는다" (0) | 2017.12.22 |
왕필산책 : 도덕경 제54장 왕필주 "잘 심은 것은 뽑히지 않는다" (0) | 2017.12.21 |
왕필산책 : 도덕경 제53장 왕필주 "내가 분명하게 아는 것은 큰 도에 대한 실천이다" (0) | 2017.12.21 |
왕필산책 : 도덕경 제52장 왕필주 "천하의 시작이 있는데, 그것이 천하의 어미가 된다" (0) | 2017.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