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51장 왕필주 "도는 낳고, 덕스러움은 기른다" 본문
제 51 장
도생지道生之, 덕축지德畜之. 물형지物形之, 기성지器成之.
시이만물是以萬物, 막부존도莫不尊道, 이귀덕而貴德.
도지존道之尊, 덕지귀德之貴, 부막지명夫莫之命, 이상자연而常自然.
고도생지故道生之, 덕축지德畜之. 장지長之, 육지育之, 정지亭之, 독지毒之, 양지養之, 복지覆之.
생이불유生而不有, 위이불시爲而不恃.
장이부재長而不宰. 시위현덕是謂玄德.
도道는 낳고, 덕스러움德은 기른다. (그러므로 만물은) 형상이 갖추어지고物形, 형세가 이루어진다器成.
그러므로 만물이 도道를 높이지 않거나, 덕스러움德을 받들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도道를 높이거나 덕스러움德을 받드는 것은 무릇 일부러 시켜서 그러한 것命이 아니라, 언제나 저절로 그러한 것自然이다.
그러므로 도道는 낳고, 덕스러움德은 기른다. 자라게 되고, 살찌게 되며, 곧게 되고, 시들게 되며, 거둬들여지게 되고, 뒤집혀지게 된다.
생겨나게 하지만 소유되게 하지 않으며, 살아가게 하지만 의지하게 하지 않는다.
이루어지게 하지만 주도되게 하지 않는다. 이것을 일컬어 ‘현덕玄德’이라 한다.
道生之, 德畜之. 物形之, 器成之.
(“器”는 각양각색의 “사물(物; things : 제47장 왕필주)”이나 “사건(事; event : 제47장 왕필주)”을 의미한다) 사물됨(이나 사건됨)物은 생겨나면서 길러지고, 길러지면서 형상形을 갖추게 되며, 형상을 갖추면서 (형세勢에 의해서 사물이나 사건으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무엇에 말미암아 생겨나게 되는가? 도道이다. 무엇을 얻어서 길러지게 되는가? 덕스러움德이다. 무엇에 말미암아 형상을 갖추게 되는가? 사물됨(이나 사건됨)이다. 무엇에 의해서 (사물이나 사건으로서) 이루어지게 되는가? 형세이다. 반대로, (형상은 사물됨이나 사건됨을) 말미암는다. 사물됨(이나 사건됨)이 없으면, 형상을 갖추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사물됨이나 사건됨이 사물이나 사건으로서 이루어지기 위해서 말미암는 것은) 형세이다. 사물됨(이나 사건됨)이 없으면, (형상을 갖추어질 수 없으며, 형상을 갖추어질 수 없으면, 형세에 의하더라도 사물이나 사건으로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무릇, ‘사물됨(이나 사건됨)이 생겨나게 됨所以’과 ‘사물(이나 사건으)로서 이루어지게 됨所以’은 모두 말미암는 바가 있다. 말미암는 바가 있다는 말은 도道를 말미암지 않음이 없다는 말이다. 따라서 끝까지極 되짚어推 가면之, 또한 도道에 이르게 된다. (끝까지 되짚어 가야지 도道에 이르게 되는 것은 ‘도道’, ‘덕스러움德’, ‘사물됨(이나 사건됨)’, ‘형상’, ‘형세’ 등과 같이) 그 말미암는 바에 따라서 각각 이름이 (다르게) 붙여져 있기 때문이다(物生而後畜, 畜而後形, 形而後成. 何由而生? 道也. 何得而畜? 德也. 何由而形? 物也. 何使而成? 勢也. 唯因也, 故能無物而不形. 唯勢也, 故能無物而不成. 凡物之所以生, 功之所以成, 皆有所由. 有所由焉, 則莫不由乎道也. 故推而極之, 亦至道也. 隨其所因, 故各有稱焉).
【해 설】
“道生之, 德畜之. 物形之, 器成之”에서 之는 뜻이 없이 문법적인 결합관계만 나타내며, ‘道生之’나 ‘德畜之’는 도道의 입장에서 설명한 것인 반면, ‘物形之’나 ‘器成之’는 만물의 입장에서 설명한 것이다.
노자가 말한 “器”는 사물과 사건의 ‘원인적’ 또는 ‘원리적’ 성질 내지 상태인 ‘본성’ 혹은 ‘본질’이 ‘결과적’ 또는 ‘현상적’ 상태 내지 형태로 발현된 ‘존재’ 혹은 ‘운동’을 의미한다. 이 때, ‘사물’이나 ‘사건’, ‘원인’이나 ‘결과’, ‘원리’나 ‘현상’, ‘본성’이나 ‘존재’, ‘본질’이나 ‘운동’ 등의 대별大別은 시간적 선후先後가 아니라 ‘논리적’ 선후를 전제로 삼는다. 왜냐하면, 왕필에게 있어서 “사물됨(이나 사건됨)物”은 “형상形”과 “형세勢”를 포괄하는데, 형상形은 ‘모양象’과 ‘상태狀’를 함축하며, 형세勢는 ‘성질性’과 ‘상태狀’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是以萬物, 莫不尊道, 而貴德.
도道는 만물이 말미암는 바이다. 덕스러움德은 만물이 얻는 바이다. (그런데) 말미암음由은 얻음得에 미친다及. 따라서 “망가뜨림失이 부득이하다”라고 일컬은 것이다. (따라서 망가뜨림) 그것을 받들면尊 해롭게 된다. (따라서) 높임貴이 부득이한 것이다(道者, 物之所由也. 德者, 物之所得也. 由之及得. 故曰不得不失. 尊之則害. 不得不貴也).
【해 설】
왕필주 “由之及得”에서 之及는 ‘동시同時’를 의미한다. 따라서, ‘由之及得’은 만물이 도道에서 생겨남由과 ‘동시에’ 덕스러움德을 얻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왕필이 말한 것처럼, 만물에게 있어서 그 “망가뜨림이 부득이한不得不失” 것은 만물은 모두 각자 그 “하나(一 : 제39장)”를 얻어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물은) 이루어진 뒤에 그 ‘하나一’를 내버려 둠舍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이룸에 머물게 된다. (그런데) 그 (일부러 일삼아) 이룸에 머물게 되면, 그 ‘어미’를 잃어버리게 된다(物皆各, 得此一以成. 旣成, 而舍以居成. 居成, 則失其母 : 제39장 왕필주).
그렇다면, 만물은 왜 그 ‘하나’를 ‘내버려 두게’ 되는가. 무엇 때문에 만물은 그 ‘하나’를 ‘내버려 두게’ 되는가. 무엇이 만물로 하여금 그 ‘하나’를 ‘내버려 두게’ 만드는가. 그것은 첫째 만물이 자기 원인적 내지 자기 충족적으로 관계하거나 변화함에 있어서 정서적 또는 육체적, 정신적 혹은 물질적 ‘편안함便’ 내지 ‘이로움利’를 추구하기 위해서 마음을 쓰기 때문이다(民生生, 之厚 : 제50장 왕필주). 둘째, 만물이 정서적 또는 육체적, 정신적 혹은 물질적 ‘편안함’ 내지 ‘이로움’를 추구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각자’가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모두’가 합의하는 목표나 이상 등을 반영시킨 기준을 세우고 그것에 따라서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하기 때문이다.
道之尊, 德之貴, 夫莫之命, 而常自然.
“일부러 시켜서 그러한 것命”은 참새부리 모양의 술잔爵을 일부러 일삼아 만드는 것作에 비유된다(命, 並作爵).
【해 설】
왕필주 “並作爵”에서 爵은 참새의 부리모양을 본떠 구리로 만든 다리가 세 개 달린 고대의 술잔을 지칭한다.
故道生之, 德畜之. 長之, 育之, 亭之, 毒之, 養之, 覆之.
그 참됨實을 이루게 하고, 각자 그 감싸줌庇과 품어줌蔭을 얻게 하며, 그 몸體을 다치게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謂成其實, 各得其庇蔭, 不傷其體矣).
【해 설】
왕필주 “各得其庇蔭”에서 ‘감싸줌庇’이나 ‘품어줌蔭’은 제10장 “載營魄抱一”에서 ‘실음載’이나 ‘안음抱’과 의미가 통하는데, 노자가 말한 “道生之, 德畜之”의 다른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왕필이 말한 “참됨實”, “감싸줌庇과 품어줌蔭”, “몸體”은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의미하며, “이루게 하거나成”, “얻게 하거나得”, “다치게 하지 않게 한다不傷”는 것은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라’ 또는 그러한 바‘대로’ 생기고 자라며 시들고, 운동하며 작용하고 활동하며, 감각하고 지각하며 의지하고 행위하게 한다는 의미이다.
生而不有, 爲而不恃.
(만물이 “생겨나고生”, “살아가도록爲”) 일삼지만爲 (그 공功을 자신이) 소유하지 않는다는 말이다(爲而不有).
長而不宰. 是謂玄德.
(만물을 “이루어지게 하는長”) 덕스러움德이 있지만, (만물은) 그 근원主을 알지 못한다는 말이다. (그것은) 그윽하고 아득한 곳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것을 “玄德”이라 일컬은 것이다(有德, 而不知其主也. 出乎幽冥. 是以謂之玄德也.).
【해 설】
왕필이 “幽冥”이라고 표현한 것은 “보려고 해도 잘 볼 수 없고, 들으려고 해도 잘 들을 수 없으며, 만지려고 해도 잘 만질 수 없기(視之不見, 聽之不聞, 搏之不得 : 제14장)”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그것을 일삼는 데 있어서, “일부러 일삼음이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없기(無爲, 而無以爲 : 제38장)” 때문이다.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53장 왕필주 "내가 분명하게 아는 것은 큰 도에 대한 실천이다" (0) | 2017.12.21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52장 왕필주 "천하의 시작이 있는데, 그것이 천하의 어미가 된다" (0) | 2017.12.21 |
왕필산책 : 도덕경 제50장 왕필주 "사람들은 삶에서 나와서 죽음으로 들어간다" (0) | 2017.12.20 |
왕필산책 : 도덕경 제49장 왕필주 "성인은 언제나 자신의 마음을 고정하지 않으며, 백성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는다" (0) | 2017.12.20 |
왕필산책 : 도덕경 제48장 왕필주 "뛰어남을 일삼는 것은 날마다 보태는 일이다" (0) | 2017.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