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52장 왕필주 "천하의 시작이 있는데, 그것이 천하의 어미가 된다" 본문
제 52 장
천하유시天下有始, 이위천하모以爲天下母.
기득기모旣得其母, 이지기자以知其子. 기지기자旣知其子, 복수기모復守其母, 몰유불태沒身不殆.
색기태塞其兌, 폐기문閉其門.
종신불근終身不勤.
개기태開其兌, 제기사濟其事, 종신불구終身不救.
견소왈명見小曰明, 수유왈강守柔曰强.
용기광用其光.
복귀기명復歸其明.
무유신앙無遺身殃. 시위습상是爲習常.
천하의 시작이 있는데, (그것이) 천하의 어미가 된다.
먼저 그 어미를 얻고 그 아들을 알아야 한다. 먼저 그 아들부터 알았다면, 되돌아가 그 어미를 지켜야, 몸이 다하도록 위태롭지 않다.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兌(이 말미암거나 생겨나는 문)을 막고, 그 (일부러 일삼음이 말미암거나 비롯되는) 문을 닫아야 한다.
(그래야) 몸이 다하도록 수고롭지 않다.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을 맞이하고, 그 일부러 일삼음을 추구하면濟, 몸이 다하도록 구제되지 못한다.
(일삼음에 있어서) 작음小을 보는 것을 ‘밝다明’고 하며, 부드러움柔을 지키는 것을 ‘굳세다强’고 한다.
그 빛남光을 일삼아야 한다.
(동시에) 그 밝음明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그래야) 몸에 재앙을 남기지 않는다. 이것이 “늘 그러함常을 익힘習”이다.
天下有始, 以爲天下母.
(“시작이 있다有始”는 말은) 잘 시작되게 한다는 말이다. 곧, 잘 먹이고養, 잘 기른다畜는 말이다. 따라서 “천하의 시작이 있는데”, 곧 (그것이) 천하의 어미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善始之. 則善養畜之矣. 故天下有始, 則可以爲天下母矣).
旣得其母, 以知其子. 旣知其子, 復守其母, 沒身不殆.
“母”는 근본本을 뜻한다. “子”는 말단末을 뜻한다. (“旣得其母, 以知其子”는) 근본을 얻음으로써 말단을 알게 된다는 말이다. (“旣知其子, 復守其母”는) 근본을 내버려 두지舍 않고서 말단을 쫓아야 한다는 말이다(母, 本也. 子, 末也. 得本以知末. 不舍本以逐末也).
【해 설】
왕필주 “不舍本以逐末”에서 不舍는 그 ‘근본’을 “지키고守” 있는지 또는 아닌지, 그 ‘근본’을 따르고 있는지 혹은 아닌지를 “밝히거나 살핀다(明, 察 : 제49장)”는 의미이다.
塞其兌, 閉其門.
“兌”는 ‘일부러 일삼음事’이 말미암는 바이며, ‘일부러 일삼고자 함欲’이 생겨나는 바이다. “門”은 ‘일부러 일삼음’이 말미암는 바이며,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비롯되는從 바이다(兌, 事欲之所由生. 門, 事欲之所由從也).
【해 설】
왕필주 “所由生”에서 生은 “所由從”에서 從과 의미에 있어서 차이가 크지 않다.
왕필이 말한 “事”는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른 감각, 지각, 의지, 행위를 의미하며, “欲”은 ‘事’의 원인으로서 정서적 또는 육체적, 정신적 혹은 물질적 ‘편안함’ 내지 ‘이로움’을 추구하는 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자가 말한 “塞”과 “閉”는 정서적 또는 육체적, 정신적 혹은 물질적 ‘편안함’ 내지 ‘이로움’을 추구하는 마음이 원인으로 작용되지 않았는지 “밝히거나 살핌(제49장 왕필주)으로써,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생겨나게 되거나 비롯되어지지 않도록 하며,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하는 것과 같은 ‘일부러 일삼음’이 말미암아지지 않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終身不勤.
일부러 일삼음事이 없으면, 오래도록 여유롭다逸. 따라서 “몸이 다하도록 수고롭지 않다”는 것이다(無事, 永逸. 故從身不勤也).
開其兌, 濟其事, 終身不救.
(일부러 일삼음이 말미암거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비롯되는) 그 근원原을 막지 않은 채, 그 일부러 일삼음(이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을 추구하기濟 때문에, 비록 몸이 다하더라도 (그것으로부터 또는 그 폐해로부터) 구제되지 못하는 것이다(不閉其原, 而濟其事, 故雖從身不救).
見小曰明, 守柔曰强.
다스림의 공됨爲功은 ‘큼大’에 있지 않다. ‘큼’만 보는 것은 ‘밝은 것明’이 아니다. (‘큼’을 보면서도) ‘작음小’을 볼 수 있어야 ‘밝은 것’이다. ‘굳셈强’을 지키는 것은 ‘굳센 것强’이 아니다. (‘굳셈’을 지키면서도) ‘부드러움柔’을 지켜야 ‘굳센 것이다(爲治之功, 不在大. 見大不明. 見小乃明. 守强不强. 守柔乃强也).
【해 설】
왕필의 언급은 “수컷을 알고 암컷을 지키면 천하의 시내谿가 될 수 있고, 하얀 것을 알고 검은 것을 지키면 천하의 모범式이 될 수 있으며, 영화로움을 알고 욕됨을 지키면 천하의 골짜기谷가 될 수 있다(知其雄, 守其雌, 爲天下谿. 知其白, 守其黑, 爲天下式. 知其榮, 守其辱, 爲天下谷 : 제28장)”는 노자의 언급과 의미가 통한다.
用其光.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고, ‘큼’을 보면서도 ‘작음’을 보며, ‘굳셈’을 지키면서도 ‘부드러움’을 지키는) 도道를 드러냄으로써 백성의 미혹됨迷을 바로 잡는다去는 말이다(顯道以去民迷).
【해 설】
노자가 말한 “光”은 ‘먼저 그 어미를 얻어서 그 아들을 알고’, ‘먼저 그 아들부터 알았지만 되돌아가 그 어미를 지키며’,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말미암거나 생겨나는 문을 막고’, ‘그 일부러 일삼음이 말미암거나 비롯되는 문을 닫으며’,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을 맞이하지’ 않고, ‘그 일부러 일삼음을 추구하지’ 않는 상태 내지 모습을 비유하는 반면, 왕필이 말한 “迷”는 ‘먼저 그 어미를 얻지’ 못해서 ‘그 아들을 알지’ 못하고, ‘먼저 그 아들부터 알았지만 되돌아가 그 어미를 지키지’ 않으며,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 말미암거나 생겨나는 문을 막지’ 않고, ‘그 일부러 일삼음이 말미암거나 비롯되는 문을 닫지’ 않으며,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을 맞이하고’, ‘그 일부러 일삼음을 추구하는’ 상태 내지 모습을 비유한다.
復歸其明.
(일부러 일삼아) 그 “실정(情 : 제49장 왕필주)”을 “밝히거나 살피지(明察 : 제49장 왕필주)” 않는다는 말이다(不明察也).
【해 설】
왕필주 “不明察”은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無遺身殃. 是爲習常.
“常”은 도道의 늘 그러함이다(道之常也).
【해 설】
왕필이 말한 “常”은 언제 어디서나 만물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와 “함께 하며 어울리는(同通 : 제40장 왕필주)” 도道의 운동양태 내지 양식,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는 “부드럽고 연한(柔弱 : 제40장 왕필주)” 도道의 작용양태 내지 양식을 포괄한다.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54장 왕필주 "잘 심은 것은 뽑히지 않는다" (0) | 2017.12.21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53장 왕필주 "내가 분명하게 아는 것은 큰 도에 대한 실천이다" (0) | 2017.12.21 |
왕필산책 : 도덕경 제51장 왕필주 "도는 낳고, 덕스러움은 기른다" (0) | 2017.12.20 |
왕필산책 : 도덕경 제50장 왕필주 "사람들은 삶에서 나와서 죽음으로 들어간다" (0) | 2017.12.20 |
왕필산책 : 도덕경 제49장 왕필주 "성인은 언제나 자신의 마음을 고정하지 않으며, 백성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는다" (0) | 2017.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