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260)
독립출판 무간
35. 대상大象 大象章, 所以次前者, 前章, 無方之用, 利物, 忘功. 故次, 此章, 顯忘功之人, 爲物所歸往. 就此章內, 文有三重. 第一, 明物之歸依, 皆獲利益. 第二, 擧樂餌爲譬, 表理敎虛玄. 第三, 示非色非聲, 而妙用無盡. 대상大象 장이 앞 장 다음에 놓인 까닭은 앞 장이 설명했기 때문이다. “(일부러 일삼은) 방향(을 가짐)이 없음, 그것이 (도道의) 일삼음(의 모습)이다. (따라서 도道는) 천하를 이롭게 하지만, (그러한 자신의) 공功을 잊어버린다.” 따라서 (이 장이 앞 장) 다음에 놓이게 되었는데, (따라서) 이 장은 설명한다. “(천하를 이롭게 하지만, 그러한 자신의) 공功을 잊어버리는 사람은 천하가 되돌아오고 찾아드는 바를 일삼게 된다.” 이 장의 안을 살피건대, 문단이 세 번 거듭됨을 가진..
34. 대도大道 大道章, 所以次前者, 前章, 明賓服, 有道之君, 由能自知自勝. 此章, 明能成光大之業, 皆爲法道忘功. 就此門中, 分爲三別. 第一, 標大道汎兮. 示左右略無封畛. 第二, 功成不有. 明小大難, 與爲名. 第三, 擧聖人不貴其身, 全光大之業. 대도大道 장이 앞 장 다음에 놓인 까닭은 앞 장이 설명했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 사람들이 스스로 찾아와) 손님이 되어 따르는, 도道를 가진 군주는 (‘본래’ 일부러 일삼음이 ‘있음’이 어슴푸레한) 자신(自; 性·理)에 대한 알아차림을 말미암음으로써, (‘이내’ 일부러 일삼음이 ‘있는’) 자신(自; 心·身)을 이겨낼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은 설명한다. “(다른 나라 사람들이 스스로 찾아와 손님이 되어 따르는) 빛나고 큰 업적을 일삼고 이루기 위해서는 이..
32. 도상道常 道常章, 所以次前者, 前章, 明佳兵不祥, 故有道不處. 此章, 明侯王守道, 則萬物自貧. 就此章中, 自分爲四. 第一, 標無名將以明道. 第二, 擧守道而能降瑞. 第三, 始制下廣, 其制用. 第四, 譬道下將以結成. 도상道常 장이 앞 장 다음에 놓인 까닭은 앞 장이 설명했기 때문이다. “아름답게 가꾼 군대는 좋은 것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도道를 가진 사람은 (그것에) 머물지 않는다.” (따라서) 이 장은 설명한다. “군주가 도道를 지키게 되면, 백성이 스스로 손님으로서 찾아들게 된다.” 이 장의 가운데를 살피건대, (의미가) 스스로 나뉘어 4개의 문단을 이룬다. 첫 번째 문단은 제시하고 설명한다.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를) 이름이 없는 바, (그것이) 도道이다.” 두 번째 문단은 설명한다.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