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장례문화 : 우리나라 자연장 현황 본문
장례문화진흥원이 수도권의 화장시설 6곳 중 한 곳을 이용한 1천명에게 화장 후 유골 안치 방법을 조사한 결과, 봉안시설에 안치하는 경우가 73.5%로 가장 많았고, 자연장은 1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시설 내에 유골을 집단으로 뿌리는 ‘유택동산’에 유골을 안치한 경우가 5.7%, 산·강·바다에 유골을 뿌린 경우가 4.8%를 차지했다.
자연장은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잔디, 나무, 화초 등 상징물 아래에 유골함 없이 묻는 방법이다. 봉분을 세워야 하는 매장, 특정 시설이 필요한 봉안 등 다른 장례 방법보다 자연을 파괴하지 않는 지속 가능한 장례 방식이어서 정부가 적극 장려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장을 선택하는 비율은 2015년도(3859명 대상 설문·18%)보다 오히려 2% 포인트 줄어들어 16%를 차지했다. 복지부는 지난 1월부터 산림보호구역에도 수목장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등 자연장과 관련된 각종 규제를 개선해 나가고 있다.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art_id=201609171250003&sec_id=560901
'장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례문화 : 다양한 조건과 상황을 검토하지 못하고, 지인의 말을 통해 결정하거나, 상조회사의 추천을 받을 수 밖에 없다! (0) | 2016.09.18 |
---|---|
우리나라 사람들이 선호하는 장례방법? (0) | 2016.09.18 |
장례문화 : 우리나라 법률에서 규정하는 자연장지 (0) | 2016.09.18 |
장례문화 : 자연장(自然葬), 자연의 순환에 회귀하는 방식! (0) | 2016.09.18 |
천국 이사 도우미 유품정리사 김새별씨 : 최고의 죽음 준비는 잘 사는 것! (0) | 2016.09.1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