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초원담노 제59장... "백성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데 있어서, '아낌'만한 것이 없다" 본문
제 59 장
치인사천治人事天, 막약색莫若嗇. 부유색夫惟嗇, 시위조복是謂早復. 조복早復, 위지중적덕謂之重積德. 중적덕重積德, 즉무불극則無不克. 무불극無不克, 즉막지기극則莫知其極. 막지기극莫知其極, 가이유국可以有國. 유국지모有國之母, 가이장구可以長久. 시위심근是謂深根, 고저固柢, 장생長生, 구시지도久視之道.
백성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데 있어서, ‘아낌’만한 것이 없다. 무릇, 오직 ‘아낌’, 이것을 ‘무엇보다 앞서 되돌아감’이라 일컫는다. ‘무엇보다 앞서 되돌아감’, 그것을 일컬어 ‘거듭해서 덕스러움德을 쌓음’이라 한다. 거듭해서 덕스러움德을 쌓으면, 이루어 내지 못할 일이 없다. 이루어 내지 못할 일이 없게 되면, 그 끝점을 알 수 없게 된다. 그 끝점을 알 수 없게 되면, 나라를 다스릴 수 있게 된다.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을 소유하게 되면, 오래 갈 수 있다. 이것을 일컬어 뿌리가 깊고, 기초가 튼튼하며,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도道라 한다.
(노자가 말한) “嗇”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 이상으로 쓰거나, 자기한테 남은 것이 없을 정도로 쓰지 않는다는 뜻이다(嗇者, 不侈費也).
(노자가 말한) 그 “도道”를 말미암지 않고, (제58장에서와 같이, 그 ‘근본’으로) 되돌아감을 알지 못하는 것, (그것을) 또한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 이상으로 쓰거나 자기한테 남은 것이 없을 정도로 쓰는 일’이라 일컬을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앞서 되돌아가서”, 그 ‘근본’을 지키게 되면, (제23장에서와 같이) 그 “도道”에 의해서 다만 귀하게 되는 것만이 아니다. (왜냐하면) “무엇보다 앞서 되돌아감”으로써 그 “이치道”에 의해서 귀하게 되는 일, (그것을) “거듭해서 덕스러움을 쌓음”이라 일컬을 수 있(기 때문이)다(由是道, 而不知反, 則亦可謂侈費也. 如能早復, 而守其本, 則不但是道之貴. 早復之爲貴, 可謂重積德矣).
“도道”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 이상으로 쓰거나, 자기한테 남은 것이 없을 정도로 쓰지 않는다.’ (따라서) 일삼지만, 이루지 못하는 것이 없게 된다. (따라서 “도道”와 같이, ‘不侈費’) 그것으로써 “백성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긴다면”, 오래 가게 되고, (제25장에서와 같이) 위태롭지 않게 되는 것이다(道, 不侈費. 而事, 無不成. 以之, 治人, 事天, 長世, 而不殆矣).
【해 설】
노자의 “治人事天, 莫若嗇”에서 嗇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그 중요성 때문에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嗇에 대한 다양한 풀이들이 있어 왔다. 그 풀이들을 정리해 보면, ‘사랑한다愛’와 ‘절약한다儉’는 두 가지 갈래로 압축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성인은 정신을 쓰는데, 아주 안정되어 있으니, 안정되어 있으면, 적게 쓰게 된다. ‘적게 쓰는 것少費’을 색嗇이라 한다(聖人之用神也靜, 靜則少費, 少費謂之嗇 :『韓非子』「解老」).”
“모든 일의 근본은 반드시 먼저 자신을 닦고, 자신을 ‘사랑하는 것愛’이다(凡事之本, 必先治身, 嗇其大寶 :『呂氏春秋』「先己」〔高誘注 : 嗇, 愛也. 大寶, 身也〕).”
노자가 말한 “嗇”은 이 두 가지 의미를 모두 함축하고 있다. ‘아끼는 마음愛’이 없는데, 어떻게 ‘아낄儉’ 수 있겠는가? 노자는 뒤에 나오는 제67장에서 자신이 지닌 세 가지 보물을 이야기하는데, 그 가운데 두 가지가 “자애로움慈”과 “검소함儉”이다.
그런데 우리말 중에는 이런 두 가지 의미들을 아주 절묘하게 통합시킬 수 있는 단어가 있다. 그것은 바로 ‘아낀다’는 말이다. ‘아낀다’는 우리말에는 ‘사랑한다’는 의미도 들어 있고, ‘절약한다’는 의미도 들어 있다. 이 때, ‘절약한다’는 것은 단순히 재화財貨의 절약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하나의 욕구나 가치, 목표나 이상 등에 집착해서 자신의 마음과 자세를 그 쪽으로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까지 포함한다(최진석,『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경기: 소나무(2014), pp.432~433).
다시 말하면, 노자가 말한 ‘아낌’은 백성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데 있어서, 제57장의 “무력兵”이나 “바름正”, 형벌질서, 명분질서, 상벌제도 등과 같은 통치자 자신의 일부러 일삼는 바에 대한 ‘아낌(절약)’이자, 그것으로 인해서 백성과 하늘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가 망가뜨려지거나 “이지러지는(缺 : 제58장)” 것에 대한 ‘아낌(절약)’이면서, 백성과 하늘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른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지각·감각·의지·행위에 대한 ‘아낌(사랑)’을 의미하는 것이다.
더해서, 노자가 말한 ‘아낌’은 다음의 사실을 전제로 삼는다. 첫째, “만물”은 “언제 어디서나常” ‘스스로 생겨난다自生.’ 이 때, 스스로라는 말은 독립적이라는 뜻이다. 둘째, “만물”은 “언제 어디서나” 변화한다. 이 때, 변화한다는 말은 생기고 자라며 시들고, 운동하며 작용하고 활동하며, 감각하고 지각하며 의지하고 행위한다는 뜻이다. 셋째, “만물”은 “언제 어디서나” 관계한다. 이 때, 관계한다는 말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뜻이다. 넷째, “만물”은 “언제 어디서나” ‘저절로 그러하게自然’ 생겨나고 변화하며 관계한다. 이 때, 저절로 그러하다는 말은 자기 원인적 또는 자기 충족적이라는 뜻이다.
노자가 말한 “母”는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도道의 운동상태 내지 작용모습(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을 의미한다.
'초원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원담노 제61장... "큰 나라가 자신을 낮추어야 한다" (0) | 2018.11.17 |
---|---|
초원담노 제60장... "큰 나라를 다스리는 일은 작은 생선을 굽는 일과 비슷하다" (0) | 2018.11.12 |
초원담노 제58장... "그 다스림이 흐릿하고 흐릿할수록 그 백성들은 순박하고 순박해진다" (0) | 2018.11.08 |
초원담노 제57장... 일부러 일삼아 바르게 함으로써 나라를 다스리게 되면 기이하게 무력을 일삼게 된다 (0) | 2018.11.03 |
초원담노 제56장... "도를 잘 아는 사람은 말로만 하지 않는다" (0) | 2018.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