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초원담노 제51장... "만물이 형상을 갖추고, 형세를 이루는 일은 도의 운동이나 작용이 아님이 없는데..." 본문
제 51 장
도생지道生之, 덕축지德畜之. 물형지物形之, 세성지勢成之. 시이만물是以萬物, 막부존도莫不尊道, 이귀덕而貴德. 도지존道之尊, 덕지귀德之貴, 부막지작夫莫之爵, 이상자연而常自然. 고도생지故道生之, 축지畜之. 장지長之, 육지育之, 정지亭之, 독지毒之, 양지養之, 복지覆之. 생이불유生而不有. 위이불시爲而不恃. 장이부재長而不宰. 시위현덕是謂玄德.
도道는 낳고, 덕스러움德은 기른다. (그러므로) 만물의 형상이 갖추어지고, (만물의) 형세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만물이 도道를 높이지 않거나, 덕스러움德을 받들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도道를 높이거나 덕스러움德을 받드는 것은 무릇 일부러 시켜서 그러한 것이 아니라, 언제나 저절로 그러한 것이다. 그러므로 도道는 낳고, 덕스러움德은 기른다. 자라게 되고, 살찌게 되며, 편안하게 하고, 불편하게 하며, 거둬들여지게 되고, 뒤집혀지게 된다. 생겨나게 하지만 소유되게 하지 않는다. 살아가게 하지만 의지하게 하지 않는다. 이루어지게 하지만 주도되게 하지 않는다. 이것을 일컬어 ‘현덕玄德’이라 한다.
“도道”와 “덕스러움德”은 언제 어디서나 ‘저절로 그러하게’, (만물을) “낳고” “기른다.” “만물”은 또한 그 (“도道”와 “덕스러움德”의)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고, 따라서 (그) “형상을 갖춘다.” (“만물”의) “형세”는 또한 그 (“도道”와 “덕스러움德”의) ‘저절로 그러한 바’를 말미암고, 따라서 “그것을 이룬다.”(道德, 常自然, 生畜之. 物, 亦因其自然, 而形之. 勢, 亦因其自然, 而成之).
그런데 (그) ‘결과’가 되는 “만물의 형상”과 “형세”는 잘 살펴보기 쉽지만, (그) ‘원인’이 되는 “도道”와 “덕스러움德”은 잘 살펴보기 어렵다. 따라서 (“만물”의 “자라나게 됨”, “살찌게 됨”, “곧게 됨”, “시들게 됨”이 말미암고) 모두 되돌아가는 (바인 그) “도道”, 그리고 (“만물”을 “살아가게 하지만”) “의지하게 하지 않고”, (“만물”을 “이루어지게 하지만”) “주도하지 않는” 그 “덕스러움德”을 (이름 붙여) “玄”이라 일컬은 것이다. (“도道”와 “덕스러움德” 모두에 대해서 이름 붙여 “玄”이라 일컬은 것은) 모름지기, “만물이 형상을 갖추고”, “형세를 이루는” 일은 그러한 “도道”의 운동流이나 작용行이 아님이 없는데, “덕스러움德”이라는 이름으로 그러한 “도道”의 (운동이나 작용의 깊이가) 깊고 (멀기가) 아득함을 모두 표현하기에 부족하다는 말과 같다(夫, 物勢之功, 易見. 而道德之本, 難覩. 故以長育亭毒, 盡歸之道, 而稱其不恃不宰之德, 曰玄. 蓋言物形勢成, 無非此道之流行, 而德之名, 猶不足以盡其深遠也).
“亭”은 ‘편안하게 머무르게 한다’는 뜻이다. “毒”은 ‘불편하게 하고, 괴롭게 한다’는 뜻이다. (비유하면) 서리와 이슬로써 만물을 시들게 하고, 근심거리와 걱정거리로써 사람을 씻어내게 하는 것인데, 모두 만물과 사람을 ‘불편하게 하는’ 이유로서, 사람과 만물이 굳고 단단함을 얻게 하는, 다시 말하면, (만물과 사람을) “자라나게 하고” “살찌게 하는” 오묘함인 것이다. 옛날의 주석에 말하길, “‘亭’으로써 그 형상을 드러나게 하고, ‘毒’으로써 그 형질을 이루어지게 한다”라고 했는데, 이와 같은 뜻이다(亭, 平停也. 毒, 困苦也. 霜露以悴物, 憂患以拂人, 皆所以毒之, 而人物得以堅固, 俱言長育之妙. 古注云, 亭以品其形, 毒以成其質, 是也).
【해 설】
“道生之, 德畜之. 物形之, 器成之”에서 之는 뜻이 없이 문법적인 결합관계만 나타내며, ‘道生之’나 ‘德畜之’는 도道의 입장에서 설명한 것인 반면, ‘物形之’나 ‘器成之’는 만물의 입장에서 설명한 것이다.
노자가 말한 “勢”는 사물과 사건의 ‘원인적’ 또는 ‘원리적’ 성질 내지 상태인 ‘본성’ 혹은 ‘본질’이 ‘결과적’ 또는 ‘현상적’ 상태 내지 형태로 발현된 ‘존재’ 혹은 ‘운동’을 의미한다. 이 때, ‘사물’이나 ‘사건’, ‘원인’이나 ‘결과’, ‘원리’나 ‘현상’, ‘본성’이나 ‘존재’, ‘본질’이나 ‘운동’ 등의 대별大別은 시간적 선후先後가 아니라 ‘논리적’ 선후를 전제로 삼는다. 왜냐하면, “사물됨(이나 사건됨)物”은 “형상形”과 “형세勢”를 포괄하는데, 형상形은 ‘모양象’과 ‘상태狀’를 함축하며, 형세勢는 ‘성질性’과 ‘상태狀’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초원이 인용한 “亭以品其形, 毒以成其質, 是也”의 출전은 다음과 같다.『易用』, 卷1, “老子亭之毒之註, 亭以品其形, 毒以成其質, 是也.”『別雅』, 卷5, “老子亭之毒之註, 亭以品其形, 毒以成其質, 是也.”『通雅』, 卷4, “列子曰, 亭之毒之註, 亭以品其形, 毒以成其質.”
'초원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원담노 제53장... "도둑질한 자랑거리" (0) | 2018.10.19 |
---|---|
초원담노 제52장... "어린아이 같이 됨으로써 그 어미같음을 지킨다면, 몸이 다할 때까지 위태롭게 되지 않을 것이다" (0) | 2018.10.16 |
초원담노 제50장... "사람이 살아가다 죽음의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은" (0) | 2018.10.09 |
초원담노 제49장... "성인은 일정하게 고정된 마음이 없다" (0) | 2018.10.08 |
초원산책 : 제48장... 무위는 일부러 일삼지 않는다는 뜻이다 (0) | 2018.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