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초원담노 제28장 : 부드럽고 연함을 지켜서 삶이 있는 영역으로 들어가야 한다 본문

초원산책

초원담노 제28장 : 부드럽고 연함을 지켜서 삶이 있는 영역으로 들어가야 한다

독립출판 무간 2018. 8. 6. 09:25


28

 

 

지기웅知其雄, 수기자守其雌, 위천하계爲天下谿. 위천하계爲天下谿, 상덕불리常德不離. 복귀우영아復歸于嬰兒. 지기백知其白, 수기흑守其黑, 위천하식爲天下式. 위천하식爲天下式, 상덕불특常德不忒. 복귀우무극復歸于無極. 지기영知其榮, 수기욕守其辱, 위천하곡爲天下谷. 위천하곡爲天下谷, 상덕내족常德乃足. 복귀우박復歸于樸. 박산樸散, 즉위기則爲器. 성인聖人, 용지用之. 즉위관장則爲官長. 고대제故大制, 불할不割.

 

수컷을 알고, ‘암컷을 지키면, 천하의 시내谿가 될 수 있다. 천하의 시내가 된다는 것은 언제 어디서나 덕스러움에서 멀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덕스러움에서 멀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그) 어린아이 같음을 돌이키고 (그것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하얀 것을 알고, ‘검은 것을 지키면, 천하의 모범이 될 수 있다. 천하의 모범이 된다는 것은 언제 어디서나 덕스러움에서 어긋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덕스러움에서 어긋나지 않는다는 것은 그) 끝남이 없음을 돌이키고 (그것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영화로운 것을 알고, ‘욕된 것을 지키면, 천하의 골짜기가 될 수 있다. 천하의 골짜기가 된다는 것은 언제 어디서나 덕스러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덕스러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그) 통나무의 소박함을 돌이키고 (그것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소박한 통나무가 깎여서 그릇이 된다. (그러므로) 성인은 (소박한 통나무) 그것을 일삼는다. 다시 말하면, (다스림에 있어서 그것을) 원리와 원칙이 되게 한다. (그러므로 성인의) 큰 다스림은 나누지 않는 것이다.

 

 

수컷(일부러 일삼기 때문에) 딱딱하고 굳세진다. 그러나 암컷(일부러 일삼지 않기 때문에) 부드럽고 연해진다. (따라서) “알아야하는데, (일부러 일삼은) 딱딱하고 굳셈은 삶이 없는 영역으로 들어가게 한다. 따라서 부드럽고 연함을 지켜서삶이 있는 영역으로 들어가야 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지 않은 채, 10장에서와 같이, “기운을 온전하게 해서 지극히 부드럽고” ‘연한’) “어린아이 같음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삶이 없음의 영역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그것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爲堅强. 而雌, 爲柔弱. , 堅强者, 之爲死之徒. 而守柔弱者, 之爲生之徒. 則能反嬰兒. 而去死, 遠矣).

 

하얀 것(일부러 일삼은 바로서 그것에는) 그림을 그려 넣을 수 있다. 그러나 검은 것(일부러 일삼지 않은 것으로서 그것에는) 무늬를 그려 넣을 수 없다. (따라서) “알아야하는데, (12장에서와 같이, 일부러 일삼은) 오색五色은 사람의 눈을 멀게 한다. 따라서 (20장에서와 같이, 일부러 일삼지 않은) 어둑하고 깜깜하며 어리석고 어리석음을 지켜야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지 않은 채, 4장에서와 같이, “텅 비어 있으면서 그것을 쓰는 데, 언제나 모자라거나 넘치지 않는”) “끝남이 없음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스림의) 근원을 얻게 되고 백성이 모여들게 되는 것이다(白者, 受繪. 而黑者, 無文. , 五色, 之令人盲. 而守昏晦之悶悶. 則能反無極. 而母羣有矣).

 

영화로운 것은 귀하게 여겨지고 높이 받들어진다. 그러나 욕된 것은 천하게 여겨지고 아래로 낮추어진다. (따라서) “알아야하는데, ‘귀함천함을 바탕으로 삼고, ‘높음낮음을 토대로 삼는다. 따라서 지켜야 하는데, ‘천함낮음으로써 바탕과 토대를 삼아야 한다. 따라서 소박한 통나무로 되돌아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스림의) 원리와 원칙을 아우르게 되는 것이다(, 爲貴高. 而辱, 爲賤下. , 貴以賤爲本, 高以下爲基. 而守, 賤下以爲本基. 則能反樸. 而御官長矣).

 

무릇, “소박한 통나무(깎여서 흩어진 그릇) ‘전체이고, “그릇(깎여서) 흩어진 (“소박한 통나무) ‘부분이다. 비유하면, (깎여서 흩어진 그릇) ‘전체’(소박한 통나무”)는 임금이 나라를 다스리는 이치이고, (깎여서 흩어진 소박한 통나무) ‘부분’(그릇”)은 그것을 일삼음이다. 다시 말하면, (깎여서 흩어진 그릇전체소박한 통나무) “(다스림의) 원리와 원칙이 되고, (깎여서 흩어진 소박한 통나무부분그릇) “(다스림의) 실천과 실현이 되는 것이다. (비유하면) “소박한 통나무(다스림의) ‘어미가 되고, “그릇(다스림의) ‘아들이 된다. 하경(下經 ; 52)에서 먼저 그 아들부터 알았다면, 되돌아가 그 어미를 지켜야 한다라고 일컬었는데, 그것은 이것을 일컫는 것이다(, 樸全, 而器散. , 全之爲君道, 而散而用之. 則爲官長, 有司也. 樸爲母, 而器爲子. 下經, 旣知其子, 復守其母者, 此之謂也).

 

해 설

노자가 말한 爲天下谿는 그 움직임이나 일삼음에 있어서, 만물을 자라나게 하고, 생겨나게 하며, 살아가게 하는(, , : 2)” 와 같은 위상을 갖게 된다는 의미이다. 이하, “爲天下式”, “爲天下谷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노자의 알고” “지킨다는 말은 제10장의 실어서” “하나로 품는다抱一는 의미이다.

노자가 말한 수컷”, “암컷”, “하얀 것”, “검은 것등은 그 존재양태 내지 존재양식에 있어서 만물 또는 세계가 소유하고 있는 다양성을 상징한다. 2장의 ”, “”, “”, “”, “”, “”, 22장의 ”, “”, “”, “”, “”, “등과 의미가 통한다.

노자가 말한 常德不離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 1)”일부러 일삼는 바(: 2)”가 없는 와 같아지고, 덕스러움과 같아진다(同於道, 同於德 : 23)”는 의미이다.

초원은 嬰兒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 25)”, “無極무위(無爲 : 2)”, “(: 1)”로 이해하고 있다.

초원이 인용한 受繪의 출전은 다음과 같다.論語,八佾, “繪事後素.”

초원이 말한 부분으로 풀이했다. 22, 則全에 대한 초원의 풀이를 따랐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