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자살시도자 10명 중 9명 '충동적 결정'... 절반이 주변에 도움요청 본문
자살시도자 10명 중 9명 '충동적 결정'... 절반이 주변에 도움요청
지난해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다 응급실을 찾은 사람 10명중 9명은 미리 계획을 하기보다 충동적으로 결심을 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절반이상은 시도 전 도움을 요청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수행한 42개 병원 내원자 1만2264명을 대상으로 한 실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계획적인지 충동적인지를 묻는 항목에 9099명의 응답자 가운데 88.9%인 8088명이 '충동적으로 시도했다'고 답했다. 계획적 시도자는 11.1%인 1011명이었다. 성별로 충동적이었다는 비율은 여성(91.0%)이 남성(86.1%)보다 높았다.
응급실에 실려왔을 때 음주 여부에 답한 1만109명 가운데선 음주자가 53.5%(5407명)로 비음주자(46.5%·4702명)보다 많았다. 음주자 비율은 남성(59.1%)이 여성(49.2%)보다 많았다.
이번 시도 전후로 도움을 요청하거나 실마리를 줬는지 물었더니 응답자 8175명중 52.1%인 4261명이 요청했다고 답했다. 47.9%(3914명)는 요청하지 않았다.
과거 시도 여부에 응답한 8567명중 '1회 이상 있었다'고 한 사람이 35.2%(3016명)를 차지했다.
향후 계획이 있다는 사람도 1405명이 있었는데, 시기별로는 '1주일 내'가 75.8%(1058명)로 가장 많았고 '1주일~1개월 내' 12.5%(175명), '1개월~6개월 내'가 7.3%(102명), '6개월 이상' 5.0%(70명) 순으로 반년 내 재차 시도하겠다는 응답자가 대부분이었다.
동기(응답자 1만4696명)는 정신건강 문제(31.0%), 대인관계(23.0%), 말다툼 등(14.1%), 경제적 문제(10.5%), 신체적 질병(7.5%) 순이었다. 이는 숨진 이들의 동기(2016년 경찰청)가 정신적 문제(36.2%), 경제적 어려움(23.4%), 신체질환(21.3%) 순인 것과 다소 차이가 있다.
사업 지원을 담당하는 중앙자살예방센터 한창수 센터장은 "상당수의 자살시도자가 음주상태에서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하고 그들이 진심으로 바라는 것은 죽음이 아니라 도움의 손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사후관리를 통해 지역사회와 연계한 적절한 치료 제공과 사회·경제적 지원으로 자살시도자의 자살 위험을 분명히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http://v.media.daum.net/v/20180704120055617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는 어떻게 어벤저스의 리더가 되었나? (0) | 2018.07.12 |
---|---|
온고지신, 인문고전의 힘! (0) | 2018.07.09 |
고독사 연 2000명 : 사후 뒤늦게 발견, 가족은 수습 거부 (0) | 2018.07.02 |
천천히 걸으면 볼 수 있는 것들, "버찌"가 계절을 느끼게 합니다! (0) | 2018.06.12 |
'지·옥·고' 갇힌 '청년의 방'..“그래도 생활비 절반이 방세" (0) | 2018.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