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16장 왕필주 "텅 빔에 이르라, 끝까지" 본문
제 16 장
치허致虛, 극極. 수정守靜, 독篤.
만물萬物, 병작竝作.
오吾, 이관以觀, 복復.
부夫, 물운운物芸芸, 각복귀기근各復歸其根.
귀근왈정歸根曰靜. 시위복명是謂復命. 복명왈상復命曰常.
지상왈명知常曰明. 부지상不知常, 망妄, 작흉作凶.
지상知常, 용容.
용容, 내공乃公.
공公, 내왕乃王.
왕王, 내천乃天.
천天, 내도乃道.
도道, 내구乃久.
몰신불태沒身不殆.
텅 빔에 이르라, 끝까지. 고요함을 지켜라, 도탑게.
만물은 각자竝 살아간다作.
나는 (그것을) 봄으로써, 돌이킨다.
무릇, 만물은 각자 살아가지만芸芸, 모두各 그 뿌리로 되돌아감을.
(그) 뿌리로 되돌아감 (그것)을 ‘정靜’이라 일컫는다. (‘정靜’) 그것을 (그) 본성의 명령에 따름이라 일컫는다. (그) 본성의 명령에 따름 (그것)을 ‘상常’이라 일컫는다.
(그) ‘상常’을 아는 것을 ‘밝음明’이라 일컫는다. (그) ‘상常’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것에) 어긋난 채, 흉함을 일으킨다作.
(그) ‘상常’을 알면, (만물을) 품어 안아 어울리지 못하는 바가 없게 된다容.
‘容’하면, 더 없이 넓은 공평함에 이르게 된다公.
‘公’하면, 두루 미치지 못하는 바가 없는 데 이르게 된다王.
‘王’하면, 하늘(의 덕스러움德)과 같아지는 데 이르게 된다天.
‘天’하면, 도道를 체득하게體 되고, (도道와) 크게 어울리게通 되며,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텅 빔虛과 없음無의 끝점極에 이르게 된다道.
‘道’하면,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대로 살아감이) 멈추지 않고, (그것이) 끝나지 않는極 데 이르게 된다久.
(그러므로) 죽을 때까지 위태롭지 않게 된다.
致虛, 極. 守靜, 篤.
말하자면, “텅 빔에 이름致虛”은 만물物이 끝까지極 도탑게 해야 할 바이다. “고요함을 지킴守靜”은 만물物이 참되게眞 바르게 해야 할 바이다(言, 致虛, 物之極篤. 守靜, 物之眞正也).
【해 설】
노자가 말한 “텅 빔에 이름致虛”과 “고요함을 지킴守靜”은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에 있어서, 정서적 또는 육체적 편안함 내지 정신적 혹은 물질적 이로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르지 않음을 비유한다. 다시 말하면, “텅 빔에 이름致虛”과 “고요함을 지킴守靜”은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 : 제1장)”나 “일부러 일삼는 바(爲 : 제2장)”가 “없는(無 : 제3장)” ‘만물’의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를 비유하는 것이다.
왕필이 말한 “극極”은 제1장 “道可道. 非常道”에서 常과 의미가 통한다. “독篤”은 ‘실천한다’ 또는 ‘실현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치허致虛, 물지극독物之極篤”은 ‘텅 빔에 이르는 일은 만물이 언제 어디서나 실천(또는 실현)해야 할 바’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왕필이 말한 “진眞”은 제10장 “專氣致柔”에서 專과 의미가 통한다. “정正”은 ‘실현한다’ 또는 ‘실천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수정守靜, 물지진정物之眞正”은 ‘고요함을 지키는 일은 만물이 온전히 실현(또는 실천)해야 할 바’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萬物, 竝作.
(노자가 말한 “作”은 본성, 본성의 명령에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운동하고, 작용하며作, 생겨나고, 자라난다는 말이다(動, 作, 生, 長).
【해 설】
노자가 말한 “竝”은 뒤에 있는 “作”의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나란하다’ 또는 ‘가지런하다’는 뜻으로서, 본성, 본성의 명령에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다(自然 : 제15장 왕필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하면, 노자가 말한 “竝”은 만물에 대한 도道의 근원성 또는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로서의 내재성, 만물의 자기 원인성 혹은 자기 충족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作”은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를 포괄한다.
吾, 以觀, 復.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을) 텅 비우고, 고요하게 함으로써, 그 (만물이 각자 자라나지만, 모두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으로) 되돌아감反을 보게觀 되고, (그것을) 돌이키게復 된다. 무릇,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은 (그 ‘없음’인) ‘텅 빔’에서 시작되며起, ‘움직임(이 ‘있음’)’은 ‘(그 ‘없음’인) 고요함’에서 시작된다起. 따라서 만물萬物이 비록 각자並 움직이며 살아가더라도, 마침내 (모두 그 ‘없음’인) ‘텅 빔’과 ‘고요함’으로 되돌아가는復歸 것이다. 따라서 ‘텅 빔에 이르는 일은 만물이 언제 어디서나 실천(또는 실현)해야 할 바’인 것이다(以虛靜, 觀其反, 復. 凡, 有起於虛, 動起於靜. 故萬物雖並動作, 卒復歸於虛靜. 是物之極篤也).
【해 설】
노자가 말한 “觀”은 ‘감각(시각)’을 통한 ‘앎(知)’으로서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르는 “萬物竝作”을 대상으로 삼는 반면, “復”은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르는 ‘지각(추론)’을 통한 ‘앎(知)’으로서 “復歸其根”을 대상으로 삼는다.
왕필이 말한 “반反”과 “복귀復歸”는 ‘말미암는다(因 : 제1장 왕필주)’, ‘따른다(從 : 제2장 왕필주, 順 : 제12장 왕필주)’, ‘맡긴다(任 : 제3장 왕필주)’, ‘같아진다(合 : 제5장 왕필주)’, ‘응한다(應 : 제8장 왕필주)’, ‘싣는다, 품는다(載, 抱 : 제10장)’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왕필주 “유기어허有起於虛, 동기어정動起於靜”에서 有와 動은 ‘만물’의 비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虛와 靜은 ‘도道’를 비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夫, 物芸芸, 各復歸其根.
(“各復歸其根”은 만물이 본성, 본성의 명령에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운동하고’, ‘작용하며’, ‘생겨나고’, ‘자라나듯이’) 각자 그 시작되었던 곳으로 되돌아간다는 말이다(各返其所始也).
【해 설】
노자가 말한 “復歸”와 왕필이 말한 “반返”은 ‘말미암음(因 : 제1장 왕필주)’, ‘따름(從 : 제2장 왕필주, 順 : 제12장 왕필주)’, ‘맡김(任 : 제3장 왕필주)’, ‘같아짐(合 : 제5장 왕필주)’, ‘응함(應 : 제8장 왕필주)’, ‘실음과 품음(載, 抱 : 제10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노자가 말한 “根”과 왕필이 말한 “시始”는 노자가 말한 “텅 빔虛”과 “고요함靜”으로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無 : 제2장)”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노자가 말한 “各復歸其根”은 “物芸芸”의 양태 내지 양식을 비유한 것으로서,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른 ‘만물’의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에 대한 부연敷衍으로 이해할 수 있다.
노자가 말한 “芸”과 “各”은 “竝”과 의미가 통한다.
歸根曰靜. 是謂復命. 復命曰常.
“뿌리로 돌아간다歸根”는 말은 ‘고요함’으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따라서 “靜”이라 일컬은 것이다. ‘고요함’으로 되돌아가는 말은 본성의 명령命을 돌이킨다復는 뜻이다. 따라서 “復命”이라 일컬은 것이다. 본성의 명령을 돌이킨다는 말은 본성性이나 본성의 명령命과 언제나 함께 있고 어디서나 함께 한다常는 뜻이다. 따라서 “常”이라 일컬은 것이다(歸根, 則靜. 故曰靜. 靜, 則復命. 故曰復命也. 復命, 則得性命之常, 故曰常也).
【해 설】
제12장 왕필주 “夫, 耳目口心, 皆順其性也. 不以順性命, 反以傷自然.”, 그리고 “吾, 以觀, 復.”에 대한 왕필주 “有起於虛, 動起於靜”에서 有와 動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을 의미하면서 그러한 ‘만물’의 비유하고, ‘虛와 靜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을 의미하면서 그러한 ‘도道’를 비유하는 것임을 전제할 때, 왕필은 다음의 사실들을 암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는 의미에 있어서 차이가 크지 않다. 둘째, 도道는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로서 만물 각자에 내재한다. 셋째, 따라서 도道가 그러하듯이 만물 각자 또한 자기 원인적 내지 자기 충족적이다.
知常曰明. 不知常, 妄, 作凶.
“常”이 실천된(또는 실현된)爲 모습物은 ‘치우치게 대하지 않음’, ‘두드러지게 대하지 않음’이다. 밝게 대하지도 않고 어둡게 대하지도 않는 모습狀, 따뜻하게 대하지도 않고 차갑게 대하지도 않은 모습象이다. 따라서 “常을 아는 것을 밝음明이라 일컫는다”고 말한 것이다. 오직, (“밝음明”) 그것이 돌이켜져야復, 이내, 만물萬物을 품어 안아包 어울리게 되며通, (따라서 만물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바가 없게 된다. (그러나 “밝음明”) 그것을 잃어버린 채, (만물에게) 나아가게 되면往, (그) ‘본성의 명령(分; 命)’에 어긋남邪이 개입되게 되고, (따라서) 만물物이 그 ‘본성의 명령’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常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것에) 어긋난妄 채, 흉함凶을 일으킨다”고 일컬은 것이다(常之爲物, 不偏, 不彭. 無皦昧之狀, 溫涼之象. 故曰知常曰明也. 唯此復, 乃能包通萬物, 無所不容. 失此以往, 則邪入乎分, 則物離其分. 故曰不知常, 則妄, 作凶也).
【해 설】
왕필주 “상지위물常之爲物”에서 爲는 ‘실천한다’ 또는 ‘실현한다’는 뜻으로서, “致虛, 極. 守靜, 篤.”에 대한 왕필주 “物之極篤. 物之眞正.”에서 篤 혹은 正과 의미가 통하며, 物은 형상과 상태, 양식과 양태, 모양과 형편, 겉모양과 밑바탕 등을 포괄한다.
왕필이 말한 “불편不偏, 불팽不彭.”, “무교매지상無皦昧之狀, 온량지상溫涼之象”은 운동·작용·활동에 있어서,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른다는 의미로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無” 운동·작용·활동 “모습狀·象”을 비유한다. 다시 말하면, 감각·지각·의지·행위에 있어서, 정서적 또는 육체적 편안함 내지 정신적 물질적 이로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을 따르지 “않는다不”는 의미인 것이다. 다음을 참조해 볼 만하다. “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아서, 만물을 버려진 추구芻狗처럼 대한다. 성인은 어질지 않아서, 백성들을 버려진 추구처럼 대한다(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 : 제5장).”
왕필이 말한 “품음包”, “어울림通”, “받아들임容”은 ‘말미암음(因 : 제1장 왕필주)’, ‘따름(從 : 제2장 왕필주, 順 : 제12장 왕필주)’, ‘맡김(任 : 제3장 왕필주)’, ‘같아짐(合 : 제5장 왕필주)’, ‘응함(應 : 제8장 왕필주)’, ‘실음과 품음(載, 抱 : 제10장)’, ‘되돌아감復歸·返·反’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왕필주 “실차이왕失此以往”에서 往은 생김·자람·시듦, 운동·작용·활동, 감각·지각·의지·행위를 포괄하는데, ‘常之爲物’에서 爲와 의미가 통한다.
知常, 容.
(“容”은) 품어 안아 어울리지 못하는 바가 없게 된다는 말이다(無所不包通也).
容, 乃公.
품에 안아서 서로 어울리지 못하는 바가 없게 되면, 이내 더 없이 넓게 공평한 데 이르게 된다는 말이다(無所不包通, 則乃至於蕩然公平也).
【해 설】
왕필주 “탕연공평蕩然公平”을 이해하는 데, 다음을 참조해 볼 만하다. “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아서, 만물을 버려진 추구芻狗처럼 대한다. 성인은 어질지 않아서, 백성들을 버려진 추구처럼 대한다(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 : 제5장).” “물水은 만물을 이롭게 하는 데, 나누지 않는다.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을 가리지 않고, 그 곳)에 머문다. (그러므로) 땅처럼 누구나 머물게 하라. 연못처럼 사심 없이 마음을 쓰라. 하늘처럼 고르게 베풀어라. 말言을 하는 데 근거가 있으라. 다스리는 데 원칙이 있으라. 일事을 하는 데 이치에 맞으라. 움직이는 데 한결 같아라. 무릇, 오직, (일부러 일삼아 나누거나 가르지 않음으로써) 다투지 마라. 그러므로 (물은) 치우침이 없는 것이다(水善利萬物, 而不爭. 處衆人之所惡. 居善地. 心善淵. 予善天. 言善信. 正善治. 事善能. 動善時. 夫唯不爭. 故無尤 : 제8장).”
公, 乃王.
더 없이 넓고 공평하게 되면, 이내 두루 미치지 못하는 바가 없는 데 이르게 된다는 말이다(蕩然公平, 則乃至於無所不周普也).
王, 乃天.
두루 미치지 못하는 데가 없게 되면, ‘하늘(의 덕스러움德)’과 같아지는 데 이르게 된다는 말이다(無所不周普, 則乃至於同乎天也).
天, 乃道.
‘하늘’과 더불어 (그) 덕스러움德이 같아지게合 되고, ‘도道’를 체득하게 되며體, (‘도道’와) 크게 어울리게通 되면, 이내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텅 빔虛’과 ‘없음無’의 끝점極에 이르게 된다는 말이다(與天合德, 體道, 大通, 則乃至於極虛無也).
道, 乃久.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에 대한) ‘텅 비움虛’을 멈추게 되고窮 (그) ‘없게 함無’을 끝내게 되며極, 도道가 언제나 함께 있고 어디서나 함께 함常을 얻게 되면, 이내 (그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대로 살아감이) 멈추지 않고窮 (그것이) 끝나지 않는極 데 이르게 된다는 말이다(窮極虛無, 得道之常, 則乃至於不窮極也).
沒身不殆.
(‘일부러 일삼는 바’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이 실현된(또는 실천된)爲 모습物은 물水과 같다. (따라서 ‘몸身’으로써 그것을 일삼으면) 불火이 해치지 못하게 된다. 쇠金와 같다. (따라서) 돌石이 부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마음心’으로써 그것을 일삼으면用, 호랑이가 그 이빨로 물어뜯을投 데가 없게 되고, 외뿔소가 그 뿔로 들이받을投 데가 없게 된다. 창戈이 그 끝으로 찌를用 데가 없게 되고, 칼兵이 그 날로 벨用 곳이 없게 된다. (그런데) 어찌 위급함이나 위태로움이 생겨나게 되겠는가? (無之爲物, 水. 火, 不能害. 金. 石, 不能殘. 用之於心, 則虎兕, 無所投其齒角. 兵戈, 無所用其鋒刃. 何危殆之有乎?).
【해 설】
왕필주 “무지위물無之爲物”의 爲와 “용지어심用之於心”의 用은 의미 차이가 크지 않다.
왕필주 “불능해不能害”, “불능잔不能殘”, “무소투無所投”, “무소용無所用”의 이유는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음으로써, “치우치게 하지 않고(無尤 : 제8장)”, ‘두드러지게 하지 않기’ 때문이다.
왕필주 “용지어심用之於心”은 ‘의지한다志’는 뜻이다.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필산책 : 도덕경 제18장 왕필주 "큰 도가 무너지자, 인의가 생겨났다" (0) | 2018.02.21 |
---|---|
왕필산책 : 도덕경 제17장 왕필주 "가장 높은 수준의 다스림에서는 백성이 통치자가 있다는 정도를 안다" (0) | 2018.02.19 |
왕필산책 : 도덕경 제15장 왕필주 "옛날에 도를 잘 실천한 사람은 미묘현통해서 그 깊이를 알 수가 없다" (0) | 2018.02.17 |
왕필산책 : 도덕경 제14장 왕필주 "그것을 보려고 해도 잘 볼 수 없어서 '미'라 일컫는다" (0) | 2018.02.16 |
왕필산책 : 도덕경 제13장 왕필주 "총애를 받거나 천대를 받거나 놀란 듯이 하라" (0) | 2018.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