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산책 : 도덕경 제16장. 텅 비어 있어야 오래 가고, 채우지 않아야 온전해진다 본문
제 16 장
지허항야至虛恒也, 수중독야守中篤也。
만물병작萬物竝作, 오이관복吾以觀復。
부물운운夫物芸芸, 각복귀기근各復歸其根。
귀근왈정歸根曰靜, 시위복명是謂復命。
복명왈상復命曰常, 지상왈명知常曰明。
부지상不知常, 망작흉妄作凶。
지상용知常容, 용내공容乃公, 공내왕公乃王, 왕내천王乃天, 천내도天乃道, 도내구道乃久, 몰신불태沒身不殆。
텅 비어 있어야 오래 가고, 채우지 않아야 온전해진다.
나는 만물로부터 그것을 배운다.
만물은 각자 자라서 그 뿌리로 돌아간다.
각자 뿌리로 돌아가는 것을 ‘정靜’이라 하는데, 스스로 그러한 바에 따른다는 말이다.
스스로 그러한 바에 따르는 것을 ‘상常’이라 하고, 상을 아는 것을 ‘명明’이라 한다.
상을 모르기 때문에 흉함을 일삼는다.
상을 알면 텅 비울 수 있고, 텅 비우면 치우치지 않을 수 있으며, 치우치지 않아야 다스릴 수 있고, 다스리는 데 치우치지 않으면 하늘의 이치에 부합할 수 있으며, 하늘의 이치는 도에 부합하고, (도에 부합하면) 죽을 때까지 위태롭지 않다.
지허항야至虛恒也, 수중독야守中篤也
허虛와 중中, 지至와 수守, 항恒과 독篤은 상호간 의미차이가 크지 않다.
만물병작萬物竝作, 오이관복吾以觀復
병竝은 ‘나란하다’, ‘가지런하다’는 뜻으로서 “운芸”, “각各”과 의미가 통한다.
작作은 나서, 자라고, 시드는 과정 전체를 의미한다.
관觀은 만물병작萬物竝作을 대상으로 삼는다.
복復은 돌이킨다는 의미이다.
부지상不知常, 망작흉妄作凶
흉凶은 “용容”, “공公”, “왕王”의 부정상태를 의미한다.
지상용知常容
용容은 “텅 비우고虛”, “채우지 않은中” 상태를 의미한다.
'노자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산책 : 도덕경 제18장. 큰 도가 무너지자 인의가 생겨났다. (0) | 2017.06.03 |
---|---|
노자산책 : 도덕경 제17장. 제일 높은 수준에서는 백성들이 통치자가 있다는 정도를 안다. (0) | 2017.03.09 |
노자산책 : 도덕경 제14장. 이어지고 이어진다. 이름을 붙일 수 없다. 있는 듯 없는 듯하다! (0) | 2017.02.22 |
노자산책 : 도덕경 제13장. 총애를 받거나 천대를 받거나 놀라고, 큰 환란을 내 몸처럼 귀하게 여겨라 (0) | 2017.02.21 |
노자산책 ; 도덕경 제10장. 세상을 살아가는 데 무지無知할 수 있는가? (0) | 2017.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