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일제 침략 증거 지키는 일본인 "한국은 왜 스스로 피해 증거를 파괴하나?" 본문

경영 이야기

일제 침략 증거 지키는 일본인 "한국은 왜 스스로 피해 증거를 파괴하나?"

독립출판 무간 2021. 10. 31. 12:18

일제 침략 증거 지키는 일본인 "한국은 왜 스스로 피해 증거를 파괴하나?"

 

밝은 역사는 부각하고 어두운 역사를 감추고 싶은 것은 민족국가의 숙명이다. 국민이 자국 역사에 자부심을 갖게 하는 것이 국가 존립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크든 작든 역사에 대한 민족주의적 해석이 작동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작업을 주변국과의 마찰도 불사하고 추진하는 것을 우리는 역사 수정주의’, ‘역사왜곡이라 부른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우경화하고 있는 일본은 해당사례의 대표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일본의 역사왜곡을 돕는 것이 한국일 수도 있다는 점이다. 정부기관이 앞장서 일제강점기 수탈의 증거를 조사 한번 없이 파괴하려는 것이 현실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경향신문이 연속 보도한 인천 일본육군조병창이다.

 

철거 위기에 직면한 인천 조병창을 지키려는 것은 오직 소수의 사람들이다. 이들은 토론회, 기자회견, 시위 등 모든 가능한 방법을 동원해 인천 조병창을 힘겹게 지키고 있다. 하지만 개발 논리는 이들의 의지를 무겁게 짓누른다. ‘역사보다 귀한 것은 현시대 사람들의 이익이라는 논리가 모든 문제의식을 무력하게 만든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존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지키고 있는 것은 어쩌면 조병창이 아닌 피해국의 자존감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들을 돕는 사람 중에는 일본인기쿠치 미노루 중국 허베이 외국어대 교수가 있다.

 

기쿠치 교수는 국내 문화유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유명한 이름이다. 일본 군마현 매장문화재조사사업단에서 34년간 일하며 일본 내 전쟁유적 보존에 앞장섰다. “일본인이 남의 나라를 침략했던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는 그의 지적은 이미 국경을 초월해 있다. , “일본인의 전쟁기억이 한국, 중국과 다르다는 비판은 역사문제를 감정이 아닌 객관적 시각으로 봐야 할 필요성을 잘 보여준다.

 

https://news.v.daum.net/v/2021103108533373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