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도덕경 왕필주 38장... 높은 수준의 덕스러움은 낮은 수준의 덕과 다르다 본문
38장
上德, 不德. 是以有德. 下德, 不失德. 是以無德. 上德, 無爲, 而無以爲. 下德, 爲之, 而有以爲. 上仁, 爲之, 而無以爲. 上義, 爲之, 而有以爲. 上禮, 爲之, 而莫之應, 則攘臂, 而扔之.
故失道, 而後德. 失德, 而後仁. 失仁, 而後義. 失義, 而後禮. 夫禮者, 忠信之薄, 而亂之首. 前識者, 道之華, 而愚之始. 是以大丈夫, 處其厚, 不居其薄. 處其實, 不居其華. 故去彼, 取此.
높은 수준의 덕스러움德은 (낮은 수준의) 덕德과 다르다. (일부러 일삼거나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않는) 덕스러움德이 있기 때문이다. 낮은 수준의 덕德은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은) 덕德을 내버리지失 않는다. 그러므로 덕스러움德이 없는 것이다. 높은 수준의 덕스러움德은 일부러 일삼지 않고,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않는다. 낮은 수준의 덕德은 (일부러) 그것을 일삼거나, (일부러 그것을) 일삼고자 한다. 높은 수준의 인仁은 (일부러) 그것을 일삼지만, (일부러 그것을) 일삼고자 하지는 않는다. 높은 수준의 의義는 (일부러) 그것을 일삼고, (일부러 그것을) 일삼고자 한다. 높은 수준의 예禮는 (일부러) 그것을 일삼고, 그것에 따르지 않으면, 팔을 걷어붙이며, 그것에게로 잡아당긴다.
그러므로 도道가 망가지고失 (낮은 수준의) 덕德이 뒤따르며, (도道의 운동모습 내지 작용상태인 높은 수준의) 덕스러움德이 망가지고 인仁이 뒤따르며, 인仁이 망가지고 의義가 뒤따르며, 의義를 망가지고 예禮가 뒤따르는 것이다. 무릇, 예禮는 (도道 내지 덕스러움德의) 충실함과 진실함의 얇아진 바로서, 혼란의 근원이다. 앞의 인仁, 의義, 예禮는 도道(내지 덕스러움德)의 껍데기로서, 어리석음의 근원이다. 그러므로 대장부는 그 두터운 바를 따르지, 그 얇아진 바를 따르지 않는 것이다. 그 알맹이를 따르지, 그 껍데기를 따르지 않는 것이다.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하기 때문이다.
德者, 得也. 常得, 而無喪. 利, 而無害. 故以德爲名焉. 何以得德? 由乎道也. 何以盡德? 以無爲用. 以無爲用, 則莫不載也. 故物無焉, 則無物不經. 有焉, 則不足以免其生. 是以天地, 雖廣, 以無爲心. 聖王, 雖大, 以虛爲主. 故曰以復而視, 則天地心見, 至日, 而思之, 則先王之至覩也. 故滅其私, 而無其身, 則四海莫不贍, 遠近莫不至. 殊其己, 而有其心, 則一體不能自全, 肌骨不能相容.
“德”은 (만물이) 얻는 바得이다. (도道는 만물이) 언제 어디서나 얻게 하지, 잃게 하지 않는다. (만물을) 이롭게 하지, 해롭게 하지 않는다. 따라서 “덕스럽다德”고 한 것이다. (만물이) 어떻게 덕스러움德을 얻을 수 있는가? “도道”를 말미암아서. (만물이) 어떻게 덕스러움德을 다할 수 있는가?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無”로써 일삼아서用.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無”로써 일삼으면, 싣지 못하는 것이 없게 된다. 따라서 만물이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無”로써 일삼으면, 만물이 가지 못하는 곳이 없게 되는 것이다. (만물이)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있음有”로써 (일삼으면),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있음이) 생겨남生을 면하기에 부족하다. 따라서 하늘과 땅이 비록 넓지만, “일부러 일삼고자 함이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음無”로써 마음을 삼는 것이다. 비록 성인聖과 임금(의 위상)이 크지만, 텅 비움으로써 근본을 삼는 것이다. 따라서 (만물이 나고 자라며 시드는 모습을) “돌이켜 살핀다(吾以觀復 : 16장)”고 한 것인데, 그렇게 하면 하늘과 땅의 마음이 보이게 되며, 날마다至日 그것을 생각하면 앞선 왕들의 지극함이 보이게 된다. 따라서 그 사사로움을 없애고 그 몸身을 없애면, 천하四海에 구제하지 못하는 것이 없게 되며, 멀든지 가깝든지 이르지 못하는 곳이 없게 되는 것이다. 그 몸己을 죽이지만, 그 마음을 남긴다면, 제 한 몸體조차 스스로 온전히 지키지 못하게 되며, 살과 뼈가 서로 받아들이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해 설】
왕필주 “德者, 得也”에서 ‘得’의 대상은 만물 각자의 본성性, 본성의 명령性命,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 25장)”이다. 다시 말하면, 왕필에게 있어서, ‘德’은 만물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의미하는 것이다.
왕필주 “何以盡德”에서 ‘盡’은 실천 내지 실현을 의미한다.
왕필주 “由乎道也”에서 由는 “따른다(法 : 25장)”는 의미이다.
왕필주 “以無爲用”에서 ‘無’는 ‘없다’는 뜻으로서, 정서적·육체적 편안함이나 정신적·물질적 이로움을 추구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가치나 욕구,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르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用’은 ‘일삼는다’는 뜻으로서, 감각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거나 행위한다는 의미이다.
왕필주 “莫不載也”에서 ‘載’는 태어나게 하고, 자라게 하며, 시들게 한다는 의미이다.
왕필주 “則無物不經”에서 ‘經’은 만물이 태어나고 자라며 시드는 전체 과정을 의미한다.
왕필주 “有焉, 則不足以免其生”에서 ‘有’는 ‘生’의 원인으로서, 정서적·육체적 편안함이나 정신적·물질적 이로움을 추구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지향하거나 사회적으로 합의된 욕구나 가치,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름을 의미하며, ‘生’은 ‘有’의 결과로서, 2장의 “뛰어난 것賢”, “얻기 어려운 재화難得之貨”, 9장의 “금金”과 “옥玉”, “부유해지는 것富”과 “고귀해지는 것貴”, 12장의 “다섯 가지 색깔五色”, “다섯 가지 소리五音”, “다섯 가지 맛五味”, “말 달리며 사냥하는 것馳騁畋獵”, 13장의 “총애寵”, 18장의 “자애로움慈”, “효성孝”, “충신忠臣”, 19장의 “성인이 되는 것聖”, “똑똑한 사람이 되는 것智”, “어진 것仁”과 “의로운 것義”, “만들기 어려운 것巧”, “이롭게 하는 것利”, 20장의 “學”, 24장의 “돋보이려고 발뒤꿈치를 드는 것企”, “앞서 가려고 큰 걸음으로 걷는 것跨”, “따지거나 가리는 것自見”, “잘난 체하는 것自是”, “뽐내는 것自伐”, “우쭐거리는 것自矜”, 27장의 “轍迹”, “瑕謫”, “籌策”, “關鍵”, “繩約” 등이 같은 부류에 속한다.
왕필주 “以無爲心”은 정서적·육체적 편안함이나 정신적·물질적 이로움을 추구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르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왕필주 “至日, 而思之, 則先王之至覩也”에서 ‘之’와 ‘至’는 “虛”를 의미하며, ‘覩’는 “視”를 의미한다.
왕필주 “故滅其私, 而無其身”과 “殊其己, 而有其心”에서 ‘私’, ‘身’, ‘己’, ‘心’은 정서적 또는 육체적 편안함이나 정신적 혹은 물질적 이로움을 추구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에 따른 감각, 지각, 의지, 행위 등을 의미한다.
왕필주 “四海莫不贍, 遠近莫不至”는 “일삼지 못하는 것이 없다(無不爲 : 37장)”는 의미이다.
왕필주 “一體不能自全, 肌骨不能相容”은 “물고기가 연못을 벗어나는 것(魚不可脫於淵 : 36장)”과 같은 “문제 상황(大患 : 13장)”으로서, “다툼을 벌이고(爭 : 3장)”, “도둑질을 일삼으며(爲盜 : 3장)”, “눈이 멀거나 귀가 멀거나 입맛이 망가지거나 행동이 어지러워진(令人目盲, 令人耳聾, 令人口爽, 令人心發狂, 令人行妨 : 12장)”, “단절과 대립, 갈등과 투쟁이 중심이 되는 세상(徼 : 1장)”을 비유한다.
'왕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왕필주 39장... 옛날에 하나를 얻어서 된 것들이 있었다. (0) | 2018.12.25 |
---|---|
얼마 전부터 새로운 번역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0) | 2018.04.25 |
왕필산책 : 도덕경 제37장 왕필주 "도는 언제 어디서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다" (0) | 2018.03.09 |
왕필산책 : 도덕경 제36장 왕필주 "장차 그것을 구부리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그것을 펴주어야 한다" (0) | 2018.03.09 |
왕필산책 : 도덕경 제35장 왕필주 "큰 형상을 붙잡고 있으면, 천하가 따르게 된다" (0) | 2018.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