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노자산책 : 도덕경 제28장. 큰 다스림은 분별하지 않는다. 본문
제 28 장
지기웅知其雄, 수기자守其雌, 위천하계爲天下谿。
위천하계爲天下谿, 상덕불리常德不離, 복귀어영야復歸於嬰兒。
지기백知其白, 수기흑守其黑, 천하식爲天下式。
위천하식爲天下式, 상덕불특常德不忒, 복귀어무극復歸於無極。
지기영知其榮, 수기욕守其辱, 위천하곡爲天下谷。
위천하곡爲天下谷, 상덕내족常德乃足, 복귀어박復歸於樸。
박산즉위기樸散則爲器。
성인용지聖人用之, 즉위관장則爲官長。
고대제불할故大制不割。
수컷을 알고 암컷을 지키면 천하의 시내谿가 될 수 있다.
천하의 시내가 된다는 것은 언제나 덕德에서 멀어지지 않음으로써 어린아이처럼 된다는 것이다.
하얀 것을 알고 검은 것을 지키면 천하의 모범이 될 수 있다.
천하의 모범이 된다는 것은 언제나 덕에서 어긋나지 않음으로써 이루지 못하는 것이 없게 된다는 것이다.
영화로움을 알고 욕됨을 지키면 천하의 골짜기谷가 될 수 있다.
천하의 골짜기가 된다는 것은 언제나 덕에서 벗어나지 않음으로써 통나무처럼 된다는 것이다.
통나무는 깎여서 그릇이 된다.
성인은 이러한 이치를 다스림의 원칙으로 삼는다.
큰 다스림은 분별하지 않기 때문이다.
“웅雄”과 “자雌”, “백白”과 “흑黑”, “영榮”과 “욕辱” 등은 존재양태와 존재양식에 있어서 만물 또는 세계가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측면들을 의미한다. 제2장의 “있음有과 없음無, 어려움難과 쉬움易, 김長과 짧음短, 높음高과 낮음下, 내지른 소리音와 들리는 소리聲, 앞前과 뒤後”, 제22장의 “곡曲”과 “전全”, “왕枉”과 “직直”, “와窪”와 “영盈”, “폐幣”와 “신新”, “소少”와 “득得”, “다多”와 “혹惑” 등과 의미가 통한다.
“알고知” “지킨다守”는 것은 제10장의 “실어서載” “하나로 품는다抱一”는 의미이다.
“위천하계爲天下谿”, “천하식爲天下式”, “위천하곡爲天下谷”은 “도와 같아진다”(同於道 : 제23장)는 의미이다.
“상덕불리常德不離”, “상덕불특常德不忒”, “상덕내족常德乃足”은 “덕과 같아진다”(同於德 : 제23장)는 의미이다.
“영아嬰兒”, “무극無極”, “박樸”은 분별을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것이 없는 상태 혹은 모습을 의미한다.
“복귀어무극復歸於無極”은 제3장의 “위무위爲無爲, 즉무불치則無不治”를 참조해서 풀이했다.
“박산즉위기樸散則爲器”에서 산散은 분별을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것을 의미한다.
“성인용지聖人用之”에서 지之는 앞에서 밝힌 내용 전체를 의미한다.
'노자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산책 : 도덕경 제30장. 잘 다스리는 임금은 무력을 소유하지만 함부로 사용하지 않는다. (0) | 2017.06.29 |
---|---|
노자산책 : 도덕경 제29장. 성인은 지나친 것을 버리고, 넘치는 것을 버리며, 치우친 것을 버린다. (0) | 2017.06.27 |
노자산책 : 도덕경 제27장. 분별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사람은... (0) | 2017.06.21 |
노자산책 : 도덕경 제26장. 무거움은 가벼움의 근본이 되고, 고요함은 분주함의 주인이 된다 (0) | 2017.06.19 |
노자산책 : 도덕경 제25장. 있는 듯 없는 듯하다. 이어지고 이어진다. (0) | 2017.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