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율곡의 순언 27.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세상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도道를 쌓게 하지 않았다. 본문
제27장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세상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도道를) 쌓게 하지 않았다. 이미 (도道를 쌓은) 자신으로써, 세상 사람들이 (저절로 그러하게 도道를) 일삼게 했다.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자신이 더욱 (도道를 채우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었다. 이미 (도道를 쌓은) 자신으로써, 세상 사람들이 (저절로 그러하게 도道를) 더불어 하게 했다.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자신이 더욱 (도道가 줄어들지 않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많아졌다.
聖人, 不積. 旣以爲人. 己愈有. 旣以與人, 己愈多.
위爲가 어떤 책에는 여與로 쓰여 있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와 「이인里仁」의 내용으로 비유하면,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무위無爲한) 자신(己; 性·命·道·德)으로써, 세상 사람들이 (무위無爲에) 미치게 했다. (예를 들어) 자신이 (무위無爲로써) 선 다음에, 세상 사람들이 (무위無爲로써) 서게 했다. 자신이 (무위無爲에) 이른 다음에, 세상 사람들이 (무위無爲에) 이르게 했다. (자신이 무위無爲를) 넓히고 펼침으로써, 세상 사람들이 (무위無爲를 넓히고 펼치는 바로) 건너가게 했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유위有爲를) 쓰는 바를 가지는 바가 일찍이 (한 번도) 없었다. (따라서) 그 (자연自然한) 인仁이 더욱 채워지게 되었고, 그 (자연自然한) 덕스러움德이 더욱 줄어들지 않게 되었다.”
爲, 一, 作與. 聖人, 以己及人. 己立而立人. 己達而達人. 博施濟衆. 而於己, 未嘗有費. 其仁, 愈盛, 而其德, 愈不孤矣.
하늘은 도道를 일삼는다. (따라서 하늘은 만물을) 이롭게 하지, 해롭게 하지 않는다.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하늘과 더불어) 도道를 일삼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세상 사람들을) 일삼았지만, (유위를) 다투지 않았다.
天之道. 利而不害. 聖人之道, 爲而不爭.
하늘은 도道를 일삼는다. 따라서 (하늘은) 만물을 (살아가도록 일삼는 데 있어서, 만물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성性·명命대로) 살아가게 하는 바를 마음 쓰는 바로 삼는다. 따라서 (하늘은) 만물을 이롭게 하지, 해롭게 하지 않게 된다.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이(理; 性·命·無爲·自然·道·德)를 말미암았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을 살아가도록 일삼는 데 있어서, 유위有爲를) 자기 마음대로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되었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을 (살아가도록) 일삼았지만, (유위有爲를) 다투지 않게 되었다. (요컨대,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이 세상 사람들을 살아가도록 일삼는 데 있어서, 유위有爲를 다투지 않게 되었던 까닭) 이것은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세상 사람들을 살아가도록 일삼는 데 있어서) 하늘과 더불어 하는 바를 말미암는 바로 삼았기 때문이다.
天道. 只以生物爲心. 故利而不害. 聖人, 順理而無私. 故有所爲而不爭. 此, 聖人, 所以與天爲徒者也.
여기까지가 제27장이다.
右第二十七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