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출판 무간
왕필산책 : 도덕경 제58장 왕필주 "그 다스림이 흐릿하고 흐릿할수록 그 백성들은 순박하고 순박해진다" 본문
제 58 장
기정민민其政悶悶, 기민순순其民淳淳.
기정찰찰其政察察, 기민결결其民缺缺.
화혜禍兮! 복지소의福之所倚. 복혜福兮! 화지소복禍之所伏. 숙지기극孰知其極? 기무정其無正.
정복위기正復爲奇.
선복위요善復爲妖.
인지미人之迷, 기일고구其日固久!
시이성인是以聖人, 방이불할方而不割.
염이불귀廉而不劌.
직이불사直而不肆.
광이불요光而不耀.
그 다스림이 흐릿하고 흐릿할수록 그 백성들은 순박하고 순박해진다.
그 다스림이 밝고 밝을수록 그 백성들은 이지러지고 이지러진다.
화禍에는 복福이 기대어 있구나! 복에는 화가 엎드려 있구나! 누가 그 끝점極을 알겠는가? 그 정해져 있음이 없음을.
바름이 뒤집혀서 기괴함이 된다.
착함이 뒤집혀서 간사함이 된다.
사람들이 미혹된 지가 아주 오래구나!
그러므로 성인은 평평하게 하지만, 나누지 않는 것이다.
맑게 하지만, 가르지 않는 것이다.
곧게 하지만, 꺾지 않는 것이다.
빛나게 하지만, 눈부시게 하지 않는 것이다.
其政悶悶, 其民淳淳.
말하자면, 잘 다스리는 일은 (고정된) 모양이 없고, (지어 부를) 이름이 없고, 일부러 일삼는 바事가 없다. (잘) 다스리는 일에는 이렇다 할만한 것이 없다. 흐릿하고 흐릿하다. (그러나) 마침내然卒, 큰 다스림에 이른다. 따라서 “其政悶悶”이라고 일컬은 것이다. 그 백성이 (통치자의 다스림을 꺼리거나 피하기 위해서 내지 그것에 앞장서거나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 다투거나爭 싸우는競 바가 없다. 관대하고 순박하다. 따라서 “其民淳淳”이라고 일컬은 것이다(言, 善治政者, 無形, 無名, 無事. 無政可擧. 悶悶. 然卒, 至於大治. 故曰其政悶悶也. 其民無所爭競, 寬大淳淳. 故曰其民淳淳也).
【해 설】
왕필주 “無形”은 “언제나 자신의 마음을 고정하지 않으며, 백성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는(聖人常無心, 以百姓心爲心 : 제49장)” 다스림의 상태 내지 모습을 비유한다.
왕필주 “悶悶”은 백성의 실정實情을 “밝히거나 살피지(明, 察 : 제49장 왕필주)” 않는 다스림의 상태 내지 모습을 비유한다.
왕필이 말한 “大治”는 “善治”를 의미한다.
왕필주 “其民無所爭競, 寬大淳淳”에서 無所爭競은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자신의 실정을 “밝히거나 살피는 통치자의 다스림에 응함을 다투지(夫以明察之, 物亦競以其明應之. 以不信察物, 物亦競以其不信應之 : 제49장 왕필주)” 않는다는 의미이며, 寬大淳淳은 백성이 자신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라서 살아가는 상태 내지 모습을 비유한다.
其政察察, 其民缺缺.
(“其政察察”은 통치자가) 형벌질서刑와 명분질서名를 세우고, 상벌제도를 밝힘으로써, 백성의 간사함姦과 거짓됨僞을 살핀다檢는 말이다. 따라서 “察察”이라고 일컬은 것이다. (그러나 통치자가 형벌질서, 명분질서, 상벌제도를 밝히고 간사함과 거짓됨을 살펴서 그) 종류(또는 수준이나 정도)에 따라서 (백성 혹은 그 실정을) 나누거나 가르면, 백성이 (그것을 꺼리거나 피하기 위해서 내지 그것에 앞장서거나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 다투거나爭 싸우려는競 마음을 품게 된다. 따라서 “民缺缺”이라고 일컬은 것이다(立刑名, 明賞罰, 以檢姦僞. 故曰察察也. 殊類分析, 民懷爭競. 故曰民缺缺也).
【해 설】
왕필이 말한 ‘간사함’, ‘거짓됨’은 통치자가 일부러 일삼은 ‘형벌질서’, ‘명분질서’, ‘상벌제도’ 등에 대한 백성이 “응한(應之 : 제49장 왕필주)” 결과적인 상태 내지 모습을 의미하는 동시에, 통치자가 일부러 일삼은 형벌질서, 명분질서, 상벌제도에 의해서 백성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가 “망가뜨려진(失 : 제49장 왕필주)” 결과적인 상태 내지 모습을 의미한다.
禍兮! 福之所倚. 福兮! 禍之所伏. 孰知其極? 其無正.
(“孰知其極?”은) 말하자면, ‘누가 잘 다스리는 일의 끝점極을 알겠는가?’라는 말이다. (잘 다스리는 일에는) 오히려 이렇다 할만한 것이 없다. 형벌질서와 명분질서를 세움이 없다. “흐릿하고 흐릿하다.” 그러나然而 천하가 잘大 “다스려진다(化 : 제57장).” 이것이 그 끝점極이다(言, 誰知善治之極乎? 唯無可正擧. 無可刑名. 悶悶. 然而, 天下大化. 是其極也).
【해 설】
왕필주 “誰知善治之極乎?”와 “是其極”으로 미루어 볼 때, 왕필이 말한 極은 ‘다스림治’의 형식과 절차, 내용과 방법 등에 있어서 ‘잘함善’의 상대적인 수준 또는 정도가 끝점에 다다른 상태 혹은 모습을 뜻하는 것으로서, ‘다스림’의 형식과 절차, 내용과 방법 등이 가지고 있는 그 상대적인 수준의 정점頂點 내지 정도의 극점極點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노자가 “그 정해져 있음이 없다其無正”고 한 것은 만물 또는 세계가 존재양태와 존재양식에 있어서 제2장의 “있음有과 없음無, 어려움難과 쉬움易, 김長과 짧음短, 높음高과 낮음下, 내지른 소리音와 들리는 소리聲, 앞前과 뒤後”, 제22장의 “곡曲”과 “전全”, “왕枉”과 “직直”, “와窪”와 “영盈”, “폐幣”와 “신新”, “소少”와 “득得”, “다多”와 “혹惑”, 제28장의 “웅雄”과 “자雌”, “백白”과 “흑黑”, “영榮”과 “욕辱”, 제29장의 “혹행혹수或行或隨”, “혹허혹취或歔或吹”, “혹강혹리或强或羸”, “혹배혹휴或培或隳” 등과 같은 다양한 측면들을 소유하면서 “서로 낳고相生, 서로 이루며相成, 서로 드러내고相較, 서로 뒤바뀌고相傾, 서로 어울리고相和, 서로 따르기相隨” 때문이다(제2장).
正復爲奇.
(일부러 일삼은)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게 되면, 이내便 반대로復 기이하게 무력을 일삼게 된다(제57장)”는 것이다. 따라서 “正復爲奇”라고 일컬은 것이다(以正治國, 則便復以奇用兵矣. 故曰正復爲奇).
善復爲妖.
(일부러 일삼은) 착함善을 세움으로써 백성萬物을 어울리게和 하면, 이내便 반대로復 간사함이라는 근심거리가 생겨나게 된다는 것이다(立善以和萬物, 則便復有妖之患也).
【해 설】
왕필주 “立善以和萬物”에서 善과 和는 통치자의 일부러 일삼은 다스림의 형식과 절차, 내용과 방법 등에 대한 백성의 “응함(應 : 제49장 왕필주)”, “따름(從 : 제57장 왕필주)”, ‘다툼’, ‘싸움’ 등을 전제한다.
人之迷, 其日固久!
말하자면, 사람들이 미혹되어 도道를 망가뜨린 지 “아주 오래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善治”로써 꾸짖어 이내便 바르게 할 수 없다는 것이다(言, 人之迷惑, 失道, 固久矣. 不可便正善治以責).
【해 설】
왕필주 “失道”에서 道는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의미한다.
是以聖人, 方而不割.
(“方”은) ‘평평함方’으로써 백성物을 이끈다는 말이다. ‘내버려 둠舍’으로써 그 ‘어긋남邪’을 없앤다는 말이다. (따라서 “方而不割”은) ‘평평함’으로써 백성을 나누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른 바, “크게 평평한 것은 모남이 없다(大方無遇 : 41장)” (以方導物. 舍去其邪. 不以方割物. 所謂大方無遇).
【해 설】
노자가 말한 “方”과 “不割”, 왕필이 말한 “舍”는 “언제 어디서나 일부러 일삼음이 없는(道常無爲 : 제37장)” “도道의 움직임 내지 일삼음(道之動, 道之用 : 제40장)”에 대한 비유로서, 제5장 “以萬物爲芻狗”와 의미가 통한다. 다시 말하면, “方”과 “不割”, “舍”는 성인(통치자)이 천하(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백성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에 따를 뿐, 자신이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욕구나 가치, 사회적으로 합의된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르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제28장 “대제불할大制不割”과 의미가 통한다.
廉而不劌.
“廉”은 맑고淸 깨끗하다(또는 곧다廉)는 말이다. “劌”는 다치게 한다傷(또는 해롭게 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廉”은) ‘맑음’과 ‘깨끗함(또는 곧음)’으로써 백성을 맑게 한다는 말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어긋남邪’을 없애게 한다는 말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깨끗하지 못함(또는 곧지 못함汙)’을 없애게 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廉而不劌”는) ‘맑음’과 ‘깨끗함(또는 곧음)’으로써 백성을 가르거나 다치게 하지(또는 해롭게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廉, 淸廉也. 劌, 傷也. 以淸廉淸民. 令去其邪. 令去其汙. 不以淸廉劌傷於物也).
直而不肆.
(“直”은) ‘곧음’으로써 백성物을 이끈다는 말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치우침’을 없애게 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直而不肆”는) ‘곧음’으로써 (백성을 이끌어) 서로 부딪치게 하거나 끓어오르게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른바, “大直若屈(제45장)”이다(以直導物. 令去其僻. 而不以直激沸於物也. 所謂大直若屈也).
【해 설】
왕필이 말한 “치우침僻”은 “응함 또는 피함(應, 避 : 제49장 왕필주)”을 의미하며, “부딪침激”이나 “끓어오름沸”은 ‘다툼’ 혹은 ‘싸움’을 비유한다.
光而不耀.
(“光”은) ‘빛남’으로써 그 미혹되는 원인을 비춘다는 말이다. (따라서 “光而不耀”는) 빛남으로써 (그 미혹되는 원인을 비추지만) 그 숨겨진 바隱나 가려진 바匿를 비추고자 하거나求 비추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른바, “明道若昧(제41장)”이다. 이와 같은 모든 것들은 “(일부러 일삼지 않는 다스림의) 근본을 높임으로써 (무력과 같은) 말단을 일삼지 않으며(제57장 왕필주)”, (일부러 일삼은 밝힘과 살핌으로써 백성의 실정을) “공격하지(제49장 왕필주)” 않고서 그것으로 돌아가게 하려는 것이다(以光鑑其所以迷. 不以光照求其隱匿也. 所謂明道若昧也. 此皆, 崇本以息末, 不攻而使復之也).
【해 설】
왕필주 “不攻而使復之”에서 之는 “(일부러 일삼고자 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도道(제57장 왕필주)” 내지 백성 각자의 본성, 본성의 명령, 저절로 그러한 바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