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원담노 제66장... "강과 바다가 온갖 계곡의 왕이 되는 까닭은..."
제 66 장
강해소이능위백곡왕자江海所以能爲百谷王者, 이기선하지以其善下之. 고능위백곡왕故能爲百谷王. 시이성인욕상인是以聖人欲上人, 이기언하지以其言下之. 욕선인欲先人, 이기신후지以其身後之. 시이처상是以處上, 이인부중而人不重. 처전處前, 이인불능해而人不能害. 시이천하락추是以天下樂推, 이불염而不厭. 이기부쟁以其不爭, 고천하막능여지쟁故天下莫能與之爭.
강과 바다가 온갖 계곡의 왕이 되는 까닭은 그것들의 ‘아래’에 머물기를 잘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능히 온갖 계곡의 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이 백성의 ‘위’가 되고자 할 때에는, (제39장의 “孤”, “寡”, “不穀”에서와 같이) 그 말言로써 (자신을) 그들의 ‘아래’가 되게 하는 것이다. 백성의 ‘앞’이 되고자 할 때에는, (제7장의 “後其身而身先, 外其身而身存”에서와 같이) 그 몸으로써 (자신을) 그들의 ‘뒤’가 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백성의 ‘위’에 머물지만, 백성이 (그것을) 무거워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백성의 ‘앞’에 머물지만, 백성이 (그것을) 해로워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천하가 추천하기를 즐기고, 꺼리지 않는 것이다. (백성의 ‘위’가 되거나 백성의 ‘앞’이 되는 것을 일부러 일삼아) 다투지 않기 때문에, 천하의 누구도 그와 더불어 다투지 못하는 것이다.
“(만물) 그것들의 ‘아래’에 머물기를 잘 한다”는 말은 (제8장에서와 같이, 물水처럼) 만물을 이롭게 하기를 잘 한다는 말과 같다. (그것들의 ‘아래’에 머무는 것) 그것이 (저절로 그러하게) 잘 한다는 뜻인데, 말하자면, 그 본성이 그것들의 ‘아래’에 머물기를 잘 한다는 뜻이다(以其善下之, 猶善利萬物. 之善, 言其性, 善下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