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산책 : 도덕경 제19장. 분별하지 말고, 일부러 일삼지 말자
제 19 장
절성기지絶聖棄智, 민리백배民利百倍。
절인기의絶仁棄義, 민복효자民復孝慈。
절교기리絶巧棄利, 도적무유盜賊無有。
차삼자此三者, 이위문부족以爲文不足。
고령유소속故令有所屬。
견소포박見素抱樸, 소사과욕少私過欲。
성인이 되는 것을 높이 받들지 않고, 똑똑한 사람이 되는 것을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들이 백배는 이로울 것이다.
어진 것을 높이 받들지 않고, 의로운 것을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들이 더욱 효성스럽고 자애로울 것이다.
만들기 어려운 것을 높이 받들지 않고, 이롭게 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들이 훔치거나 빼앗지 않을 것이다.
이 세 가지는 겉으로 외친다고 되는 게 아니다.
속으로 따르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분별하지 말고, 일부러 일삼지 말자.’
“성인이 되는 것聖”, “똑똑한 사람이 되는 것智”, “어진 것仁”과 “의로운 것義”, “만들기 어려운 것巧”, “이롭게 하는 것利” 등은 개인적으로 지향하거나 사회적으로 합의된 욕구나 가치, 목표나 이상 등이 반영된 기준에 따라서 분별을 하거나 일부러 일삼는 대상으로서 제2장의 “뛰어난 것賢”, “얻기 어려운 재화難得之貨”, 제9장의 “금金”과 “옥玉”, “부유해지는 것富”과 “고귀해지는 것貴”, 제12장의 “오색五色”, “오음五音”, “오미五味”, “말 달리며 사냥하는 것馳騁畋獵”, 제13장의 “총애寵”, 제18장의 “자애로움慈”, “효성孝”, “충신忠臣” 등과 같은 부류에 속한다.
절성기지絶聖棄智
절絶과 기棄의 풀이는 제3장 “불상현不尙賢”과 “불귀난득지화不貴難得之貨”를 참조했다.
고령유소속故令有所屬
다음과 의미가 통한다.
“성인은 분별하거나 일부러 일삼지 않는 모습으로 살고, 그것으로써 가르친다. 만물이 일어나면 함께 일어나고, 밖으로 나가면 함께 나가며, 일을 하면 함께 일을 한다”(是以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萬物作焉而弗始, 生而弗有, 爲而弗志 : 제2장).
“누가 혼탁한 것을 꺼리지 않고 그것과 함께 하면서 서서히 맑아지게 할 수 있는가? 누가 불편한 것을 꺼리지 않고 그것과 함께 하면서 서서히 따라하게 할 수 있는가?”(孰能濁以靜之徐淸, 孰能安以動之徐生? : 제15장)